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 2055년에 고갈?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 2055년에 고갈?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 2055년에 고갈?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8,613

우리가 나이 들어서 일을 안 해도 조금은 마음 놓을 수 있는 이유, 일할 때 나라에 낸 보험료를 국민연금으로 돌려받기 때문이잖아요. 근데 국민연금의 잔고가 갈수록 줄어 서둘러 손봐야 한다는 얘기가 많았고요(=연금개혁). 그런데 며칠 전, 그동안 예상했던 것보다 2년 더 일찍 국민연금이 바닥날 거란 발표가 나왔어요 🗣️.

국민연금이 바닥난다고?

정확하게는 국민연금이 쌓아둔 돈(=기금)이 바닥난다는 거예요. 국민연금은 사람들이 낸 보험료에다가 국민연금공단이 재테크해서 불린 돈을 합친 기금을 쌓아둬요. 정부는 이렇게 관리하는 국민연금 주머니가 앞으로 괜찮은지 인구·경제·제도 등을 따져 5년마다 계산해보는데요. 이대로라면 2055년에 바닥날 거라고. 이유는 1️⃣ 출생률이 줄어 보험료 낼 사람은 부족해지는 반면 2️⃣ 고령화로 연금 줘야 할 사람은 늘었기 때문. “이게 다 연금개혁 미리 못 해서 그런 거야”라는 얘기도 나오고요.

이렇게 될 줄 몰랐대? 

국민연금을 뜯어고쳐야 한다는 말은 많았는데 워낙 민감한 문제라서 제대로 손대지 못했어요 🤔. 지금은 한 달 평균 100만 원을 벌면 이 중 9만 원을 보험료로 내고(보험료율 9%), 노년에 월 43만 원씩 연금으로 받는데요(소득대체율 43%). 1988년에 국민연금 제도를 만든 뒤 딱 2번 손댄 게 전부라고. 보험료율은 올리지 못했고, 소득대체율만 70%에서 1998년에 60%, 2007년에 40%(2028년까지)로 낮췄고요. 돈을 더 걷지는 않고, 연금으로 주는 돈만 줄여가는 선에서 땜질 처방을 해왔던 거예요.

앞으로 어떻게 바꿔야 할까?

보험료를 올리는 건 확실한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뉘어요:

  • 더 내고 더 받자: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을 모두 올리자는 얘기가 있어요. 소득의 40%밖에 안 되는 연금으로는 노후를 제대로 보장할 수 없다는 것.

  • 더 내고 똑같이 받자: 보험료율은 올리되 소득대체율은 똑같이 유지하자는 의견도 있어요. 가뜩이나 보험료 부담이 커져서 연금개혁 하자는 마당에 무슨 돈으로 연금을 더 주냐는 것.

이 밖에도 연금 받기 시작하는 나이를 지금(만 63세, 2033년 65세)보다 늦추자는 얘기도 있고요. 국회 ‘연금개혁 스페셜 팀(연금개혁특별위원회)’은 4월 말까지 연금개혁안을 짜서 발표할 거라고. 

+ 국민연금 바닥나면 나중에 못 받을 수도 있는 거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가 많아요. 

  • 책임지고 줘: 정부는 설령 기금이 바닥나도 연금을 안 주는 일은 절대 없을 거라고 말해요. 국민연금은 사회보험제도의 하나라, 세금을 들이거나 보험료율을 올려서라도 나라에서 책임지고 준다는 것.

  • 기금 바닥나도 줘: 사실 우리나라처럼 기금을 잔뜩 쌓아놓고 연금을 주는 게(=적립방식) 흔치 않은 케이스라고. 미국·독일·스웨덴 등 연금제도를 일찍 도입한 선진국들도 처음에는 우리나라처럼 기금을 쌓아뒀는데요. 노령 인구가 늘면서 진작 기금이 바닥났고, 연금을 주기 위해 필요한 만큼 그때그때 보험료나 세금을 걷는 식(=부과방식)으로 바꿨어요. 그래도 연금은 계속 문제없이 주고 있고요.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

뉴닉
뉴닉
@newneek
팔로워 12.4K팔로잉 6

뉴닉 공식 계정이에요. 지식과 관심사를 나누며, 건강하고 다정한 커뮤니티를 만들어요! 🪐나를 채우는 건강한 지식을 나눠주세요. 🪐서로의 호기심이 담긴 질문을 환영해주세요. 🪐서로의 다양한 관점을 존중해주세요.

이 아티클을 인용한 포스트

더 보기
마린느
마린느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커지는 중이라서 부과방식을 채택하면 의무가 있는 국민은 청년층 인구 감소와 고령층 인구 증가로 인한 불규칙적이고 가중되는 보험료를 내게 될 것 같은데 어떻게 이 방식을 적용할 수 있었던 건가요?

🤔1
0
민트리
민트리

그래서 결국엔 보험료를 낼 인구가 주는 것이 문제인데 그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묘책을 강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인구가 늘고 있는 국가들에 정책이 무엇이였는지 케이스 연구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인구는 국력입니다. 그 13억명 인구인 중국도 출산률이 줄어드니 빨간불이 켜진것처럼 방송을 합니다. 그럼 한국은 대체 어떡하나요. 심히 걱정스럽습니다. 정책도 중요하지만 젊은이들의 인식이 정말 너무 걱정됩니다. 국가, 가족, 내 가정보다 오로지 본인만 챙기는 개인이기주의가 무섭습니다. 나라가 나서서 가족,자녀 등 인식부터 개선해야

1
째럼
째럼

낼사람은 적어지고 받을사람은 많아져서 기금이 바닥난다는게 잘 이해가 안됩니다 보험료를 낸사람만 받을수 있는 구조니까 몇십년간 그돈을 책임지고 불려서 나중에 내가낸돈보다 더 많이 주려했던것 아닌가요? 기금이 바닥난다는건 그럼 그 돈을 약속한만큼 공단의 재테크로 불리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후세대의 돈으로 충당할 거였으면 9를 내고 43으로 돌려준다는것이 인구가 3-4배씩 늘어나야 가능한일이니 애초에 말이 안되는 구조인데 어떻게 조달할 생각으로 연금이 계획된건지 궁금해요.. + 오타 수정했더니 답변이 사라졌네요.. 잘읽었습니다!

🤔2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