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속 지진 덮친 미얀마, 피해가 커진 이유는?

내전 속 지진 덮친 미얀마, 피해가 커진 이유는?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내전 속 지진 덮친 미얀마, 피해가 커진 이유는?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14,277

미얀마에 규모 7.7의 강한 지진(그래픽)이 발생하며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요. 재작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이후 2년, 미얀마에서는 113년 만의 최대 지진에 사망자가 1만 명이 넘을 거라는 전망도 나와요.

사망자가 1만 명이 넘을 거라고?

미얀마 군부는 지진 발생 이틀째인 30일(현지시간) 기준 약 1700명이 숨졌고 3400명이 다쳤다고 밝혔는데요. 현재 정확한 규모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실제 피해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보여요. 붕괴된 건물에서 시신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고 여진도 이어지고 있어서 사상자는 계속 늘고 있는 상황이에요. 수도원 등 문화 유적이 파괴된 데다, 진원에서 1000km 넘게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공사 중이던 고층 건물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고요.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 명 이상일 가능성을 68%로 예측하고 있어요. 경제적 피해 또한 지난해 미얀마의 국내총생산(GDP)인 643억 달러를 넘겨 1000억 달러(약 147조 원)에 달할 수 있다고.

왜 이렇게 피해가 큰 거야?

  • 지진 취약 지대였어: 미얀마는 4개의 지각판 사이에 위치해 있어 예전부터 지진 위험지역으로 꼽혀왔어요. 이번 지진은 미얀마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사가잉 단층(그래픽)을 따라 발생했는데요. 일반적으로 지진의 발생 지점(=진원) 깊이는 50~60km이지만, 이번 지진의 진원은 약 10km였어요. 진원의 깊이가 얕아 지진의 충격이 그대로 전달된 것.
  • 시스템·컨트롤타워 부족했어: 미얀마의 건물 대부분이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아 건물 붕괴 규모와 피해가 커졌을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에요. 또한 2021년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군부 정부군과 무장투쟁세력 간의 내전이 4년 가까이 이뤄지며, 의료 시스템과 컨트롤타워 기능도 취약해진 상태예요. 지원이 부족해 일부 구조대는 장비 없이 맨손으로 구조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어요.

안타까워... 구조가 잘 되어야 할 텐데

미얀마 군부는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는데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해외 원조를 멈춰 온 미국을 포함해 세계 각국이 지원에 나섰고요. 우리나라도 2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어요. 다만 군부의 언론 통제와 인터넷 차단 등으로 피해 규모 파악이 쉽지 않은 데다, 내전으로 인해 구조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이 많다고. 이에 군부가 장악한 일부 지역에만 구조가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와요. 지진 이후 모든 공격 활동을 멈춘 저항군과 달리 군부는 이들을 향한 공습을 이어가고 있어 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요.

by. 에디터 오월 🍕
이미지 출처: ⓒREUTERS/Stringer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