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 용어 간단 정리(3/4~3/7) ❖❖❖
1) 크름반도 / 민스크 평화협정 :
크름반도(Crimean Pen) : 우크라이나의 남쪽 흑해로 돌출해 있는 반도로, 자치 공화국 형태로 운영되고 본래 러시아 영토였다가 1954년 우크라이나에 편입됐다. 그러다 2014년 3월 러시아가 무력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로부터 크림반도를 병합하면서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23년 만에 다시 러시아 영토가 됐다. 그러나 유럽연합과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민스크 평화협정(Minsk agreement) :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친러 반군 간의 종전을 위해 2014년과 2015년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서 체결된 2 개의 협정을 말한다 . 2014 년 2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 이후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우크라이나 최동부 돈바스 지역 ( 루간스크주와 도네츠크주 일대 ) 에서는 우크라이나에서 독립해 러시아에 속하려는 친러 분리주의자들의 투쟁이 시작됐다 . 친러 반군들은 분리 독립을 주장하면서 자체 주민투표를 거쳐 각각 루간스크인민공화국 (LPR) 과 도네츠크인민공화국 (DPR) 을 세우고 자치권을 요구했다. 이에 이들을 진압하려는 우크라이나 정부군과의 교전이 이어지면서 내전으로 확산됐다 . 그리고 분쟁이 점차 심화되면서 피해가 커지자 갈등 당사자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분리주의자들은 2014 년 9 월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의 중재 아래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서 이른바 ‘ 민스크 협정 ’ 으로 불리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된 정전 협정을 체결하게 된다. 당시 협정에는 포로 교환 , 인도주의적 지원 등의 조항들이 포함됐으나 , 협정 체결 2 주도 지나지 않아 우크라이나와 분리주의자들 간에 또다시 충돌이 발생하면서 협정은 유명무실해졌다.
2) 무역확장법 232조 : 대통령이 직권으로 특정 수입품이 미국 안보를 침해하는지 조사하고 수입량 제한, 고율 관세 부과 등을 취하는 초강력 무역 제재 조치를 규정하고 있는 법이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3) 일일 활성 이용자(Daily Active Users, DAU) : 하루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순수한 이용자의 수를 말한다. (출처 : 게임용어사전 : 기관/용어)
4)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 : 가족과 같던 반려동물이 사망해 상실감, 슬픔, 우울, 불안, 대인기피 등이 나타나면서 고통을 겪게 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면서 늘고 있는 현상으로, 이는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우울증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5) 순외화자산(net foreign asset, NFA) : 개별 기업 또는 한 국가의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에서 외화부채를 제외한 액수를 말한다. 기업별 순외화자산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순외화자산이라 할 때에는 한 국가 금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에서 외화부채을 제한 액수를 말한다. 순외화자산은 외화부채를 제한 금액이기 때문에 외화부채를 포함한 대외자산의 합계로 계상되는 외환보유액과는 다르다. 즉, 순외화자산은 외화부채를 수반하지 않는 외화자산만의 취득에 의해 증가하게 된다. 순외화자산은 외환·통화 정책에 이용되는 금융지표 중 하나로, 순외화자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대외준비가 잘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상수지 또한 호조를 이루게 된다.(출처 : 두산백과)
6) 개인소비지출(PCE) /소득 5분위 / 가처분소득 :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 일정 기간 개인이 물건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출한 모든 비용을 합친 금액으로, 매월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에서 발표하고 있다. 개인소비지출은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정도를 파악해 금리 인상이나 인하 유무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가 되고 있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소득 5분위 : 국민의 소득을 5구간으로 나뉘어서 분류한 계층별 분류.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소득 상위 21~40%, 3분위는 소득 상위 41~60%, 2분위는 하위 21~40%, 1분위는 하위 20%를 나타낸다.
(출처 : 한경 경제용어사전)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 가처분소득은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 즉 본원소득(primary income)에 아무런 대가없이 수취하는 소득인 경상이전을 반영한 소득개념이다. 국민소득 통계상의 용어로 개인소득 중 소비·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출처 : 실무노동용어사전)
7) 생활물가지수(CPI for living necessaries) : 소비자들이 자주, 많이 구입하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된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 소비자 물가의 조사 대상이 되는 품목 중에서 쌀, 배추, 쇠고기처럼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기본 생활필수품 156가지를 선정하여 평균적인 가격 변동을 나타낸 수치이다. 소비자의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1998년 4월부터 도입한 지표이다. 소비자들이 직접 느끼는 장바구니물가에 보다 근접한 물가지수로, 서민생활과 밀접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출처 : 매일경제)
8) 유상증자(capital increase with consideration) :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한 다음 이를 주주들로부터 돈을 받고 나눠 주는 방식으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기업 입장에서 유상증자를 하면 발행 주식 수와 함께 회사 자산도 늘어나게 된다. 기업은 유보금이 부족하거나 대출이 여의치 않을 때, 높은 이자로 인해 채권 발행이 힘들 때 유상증자를 결정하게 된다.(출처 : 매일경제)
9) 이사의 충실의무(제382조의3) : “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 .” 는 것으로 상법 제 382 조의 3 에 규정돼 있다. 이사의 주요 의무 중 하나로 꼽히는 충실의무에 대해서는 소액주주의 권익 보장을 위해 그 대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상법 개정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10) 자본시장법 : 정식 명칭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다. 금융시장 간 칸막이를 허물어 모든 금융투자회사가 다양한 금융 상품을 취급하도록 하기 위해 종전의 6개 법을 통합한 법률로 2009년부터 시행되었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11) 기업회생절차 / 구조조정 :
기업회생절차 : 법정관리 를 개칭한 것으로 기업이 사업을 계속할 만한 가치가 있지만 과잉투자나 금융사고 등의 문제로 인하여 부채를 영업이익 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없을 경우, 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된다. 그 과정에서 채무의 일부를 탕감하거나 주식으로 전환하는 등 부채를 조정하여, 기업이 회생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구조조정 : 기업의 기존 사업구조나 조직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그 기능 또는 효율을 높이고자 실시하는 구조개혁 작업을 말한다.
(출처 : 시사경제용어사전)
12) 고망간강(high manganese steel) : 함유 금속 원소 가운데 망간을 11-14% 함유하는 합금강. 내충격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출처 : 대한건국학회 건축용어사전)
13) 환매(還買) : 고객이 은행에 맡긴 돈을 찾을 때는 인출이라고 하지만 투신에서 돈을 찾는 것은 환매라고 한다. 고객과 투신사는 '수익증권을 사고 파는' 관계로 맺어져 있다. 투신사 입장에서 환매는 고객으로부터 수익증권을 되사는 것이고 매각은 고객에게 수익증권을 파는 것이다. 고객편에서 볼때 환매와 매각은 '출금과 입금', 즉 돈을 찾고 돈을 예치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14)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nited States Mexico Canada Agreement, USMCA) : 미국·멕시코·캐나다 북미 3국이 19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을 개정해 새롭게 합의한 다자 간 협정을 말한다. 이 협정에는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해 각각 연간 260만 대·240만 대에 한해 고율 관세를 면제하고, 무관세 자동차의 역내 부품 비율을 62.5%에서 75%로 상향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협정의 유효기간은 16년이며 6년마다 재검토해 갱신 여부를 결정한다. USMCA는 3국 정상의 공식 서명, 각국 의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2020년 7월 1일 발효됐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15) 대위변제(代位辯濟) : 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을 자가 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할 경우 채무자의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것을 말한다. 만약 제3자ㆍ연대채무자ㆍ보증인ㆍ불가분채무자 등의 공동채무자의 한 사람이 채무자나 공동채무자를 대신하여 채무를 변제할 경우, 일반적으로 변제자는 채권자가 소유하고 있던 채권에 대한 채권이나 담보권 등의 권리인 구상권(채무를 대신 변제해 준 사람이 채권자를 대신하여 채무당사자에게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을 취득하게 된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16) 전산업생산지수(Index of All Industry Production) : 우리나라 경제 전체의 모든 산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에 대한 생산활동 동향을 월별, 분기별, 연간으로 집계하여 단일지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출처 : 통계용어)
17) 익스포저(exposure) : 특정 금융회사와 연관된 금액이 어느 정도인가를 말하는 것.(출처 : 한경 경제용어사전)
18)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 : 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뜻하는 ‘inflation’과 ‘수산물’을 뜻하는 ‘fisheries’의 합성어로 수산자원의 부족에 기인한 수산물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뜻한다. 지구온난화 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과 무차별적인 남획 등으로 바다 어족자원이 점점 고갈되면서 수산자원의 심각한 부족이 피시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출처 : 시사상식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