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1. 글로벌 경제
-
미중 무역 갈등 격화
미국은 75개국에 대해 90일간 관세를 유예했으나, 중국에는 오히려 125~145%까지 고율 관세를 부과함. 이에 중국은 자국 제품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단행하며, 미중 기업 간 대화도 단절됨. -
EU-중국 전기차 분쟁
유럽연합은 중국 전기차에 대해 관세 대신 ‘최소 가격제’로 협상 전환. 보호무역보다는 제도적 대응 시사. -
중국 디플레이션 심화 및 대응책 모색
소비자물가 2개월 연속 하락, 생산자물가는 29개월 연속 하락. 이에 대응해 대규모 소비지원·기술투자 논의 중. -
미국 에너지 패권 전략 재부각
트럼프 행정부는 석유·가스 개발 확대와 우방국 대상 에너지 수출 전략을 강조. 바이든 정부의 공급 제한 정책과 대비됨. -
원자재 시장 변동성
CPI 중 에너지 가격이 -2.4%로 크게 하락했으며, 자동차·금속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산업별 관세 강화가 예고됨.
2. 미증시 주요 기업
-
AI/반도체:
-
엔비디아(NVIDIA): 수출 규제 우려 속, 제재 철회설 부각.
-
TSMC: 1분기 매출 42% 증가 – AI 서버 수요·선주문 증가 요인.
-
-
전기차:
-
테슬라: 미즈호 증권이 목표가 375달러로 하향 조정.
-
-
소비재/기술:
-
애플: 관세 유예 발표 후 +10% 상승.
-
아마존: 중국 리셀러의 미국 철수 검토.
-
마이크로소프트: 관세 유예 발표 이후 +15% 상승.
-
-
금융/에너지:
-
JP모건,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블랙록: 4월 11일 실적 발표 예정.
-
-
기타:
-
팔란티어(-3%), Coinbase(-3.5%), DNA(-2.8%), IonQ(-4%), KTTA(+91%), Versace(Prada가 인수 발표).
-
3. 증시와 투자자 관점
-
미국 증시 지수 급등 후 급락
트럼프의 관세 유예 발표로 다우(+7.87%), 나스닥(+12%), S&P500(+9.5%) 폭등했으나, 다음날 중국 고율 관세 발표로 투자 심리 급랭. -
ETF/펀드
AI/에너지 ETF 직접 언급은 없으나, 레버리지 ETF 매수가 단기 급등 원인으로 언급됨. -
미국 금리/채권 시장
CPI 둔화에 따라 2년물·10년물 국채 금리 하락. 10년물 입찰은 성공적으로 마감되어 채권 수요 확인됨.
4. 정치적 이슈
-
트럼프의 관세 전략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 유예와 동시에 중국에는 고율 관세 부과. Truth Social을 통한 매수 메시지로 시장 심리 자극. -
틱톡 매각 및 외국 기업 제재
틱톡 매각은 6월 19일까지 미완료 시 금지. 중국 기업 상장폐지도 검토 중. -
의회 및 재정 갈등
공화당이 추진하는 감세 및 부채 상한 증액 법안이 적자 문제로 하원에서 표결 연기. 감세 규모는 5조 달러, 부채 증액은 3조 달러 이상으로 계획됨. -
내각 회의 발언들
트럼프 내각은 식량안보, 산업 보호, 교육 정책 강화(학교 내 휴대폰 금지), 제조업 일자리 회복, 국방 산업(조선업 재건), 독성물질 규제 등에 대한 입장을 순차적으로 언급. -
민주당 반발
하원 민주당 의원들은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재정 삭감에 대해 반발하며 재정 건전성과 적자 해소에 대한 균형적 논의를 촉구.
5. 기타 카테고리
-
리커전, 앱사이 등 AI 기반 바이오 기업 주가 급등
FDA가 동물 실험 대체 모델을 채택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한 데 따른 반응. AI 기반 신약개발 기업의 수혜로 주목. -
드래프트킹스(DraftKings)
2분기 사상 첫 흑자 전환 전망. 캐시플로우 전환점으로 시장 관심. -
노바백스
백신 효능 논란 및 보건부 발언으로 하락. 미국 단일백신 정책과 관련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