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그느드
그느드
@rmsmem
읽음 1,174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 글로벌 경제

▸ 미국 경제

  • 자동차 관세 정책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3일부터 미국 외 생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완성차뿐 아니라 엔진, 변속기 등 부품도 포함되며, 부품은 5월 3일부터 적용. 해당 조치는 영구적으로 명시.

  • 4분기 GDP 확정치 발표: 성장률은 상향 조정되며 경기 회복세 반영. 개인소비는 예상보다 낮고 근원 PCE 물가는 하락.

  • 고용시장: 신규 실업청구건수는 예상보다 낮았고, 연속 청구건수 및 연방공무원 실업보험 신청도 감소해 고용지표는 긍정적.

  • 무역수지: 2월 상품 무역적자는 전월보다 축소. 수입 감소, 수출은 4% 증가. 그러나 소비재 수입 증가로 인해 1분기 GDP에 하방 압력 가능성.

▸ 유럽 경제

  • 무역 압박: 트럼프는 유럽연합과 캐나다가 공조 시 더 강한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

  • 블랙록 분석: 유럽 증시가 단기적으로 S&P500 대비 성과 우위. 다만 방위산업·은행 등 특정 업종 중심이라는 제한점 존재.

▸ 중국 경제

  • AI 경쟁 심화: 알리바바, 멀티모달 AI 모델 “Qwen 7B Omni” 공개. 엣지기기·음성 기반 AI 시장 겨냥.

  • 반도체 공급 불안정: 중국 서버 제조사 H3C가 엔비디아 H20 칩 공급 부족 경고.

  • AI 투자 경고: 알리바바 회장이 AI 데이터센터 과잉투자 경고 발언 → AI 관련 주가 약세 유발.

▸ 아시아 경제 (중국 제외)

  • 일본: 트럼프의 관세 조치에 대해 정당성 문제 제기. 9가지 대응 시나리오 검토 중.

▸ 글로벌 에너지

  • 석유 수요 전망 분화:

    • IG: 관세 부과로 신차 수요 감소 → 연료 수요 둔화

    • PVM: 원유 재고 감소, 베네수엘라 수입 감소 → 유가 강세 요인

  • DBS 은행: 무역전쟁 불확실성이 글로벌 수요에 악영향 가능성

▸ 유가 및 원자재 시장

  • 혼조세: 자동차 관세에 따른 수요 우려와 재고 감소가 충돌, 유가 등락.

▸ 에너지 정책 및 친환경 투자

  • 직접 언급 없음. 다만 AI 칩 및 반도체 생산 확대로 인한 에너지 소비 증가 가능성은 간접적 이슈로 언급됨.

▸ 추가 이슈

  • 학자금 대출 부실 위험: 팬데믹 시기 학자금 유예 종료 영향으로 2025년 1분기 약 900만 명의 신용등급 하락 예상

  • 미국-우크라이나 경제 협정 예고: 핵심광물 협정, 러시아 제재 강화 포함 가능성


■ 미증시 주요 기업

▸ AI 및 반도체 관련

  • 엔비디아: 중국 H3C, H20 칩 공급 부족 경고. 수요 강세에도 불구하고 지정학적 불확실성 부각.

  • 브로드컴: AI 투자 과잉 우려로 하락. 아우디와의 협력 소식.

  • AMD: 제프리스가 투자 의견 하향. 엔비디아 대비 성능 열세 지적.

  • 팔란티어: 관세 등 불확실성으로 투자심리 위축, 주가 약세.

▸ 전기차 및 자율주행

  • 테슬라: 트럼프 관세에 따른 타격 우려 언급(머스크 발언). 미국 내 생산 비중 높아 상대적으로 덜 영향받을 수 있음. 사우디 진출 긍정적 뉴스.

  • 루시드: 미국 내 생산 기업으로서 상대적 수혜 가능성 언급.

  • 니오: 4.5억 달러 유상증자 발표.

▸ 소비재 및 기술 기업

  • 마이크로소프트: 미국·유럽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철수. AI 투자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 확대.

  • 애플: 터키 공정위가 자사 제품 재판매 가격 개입 의혹으로 조사 착수.

  • 알파벳: 일부 리서치기관, 목표가 하향 조정.

  • 스타벅스: 보합세 유지, 별다른 뉴스 없음.

▸ 금융 및 에너지 기업

  • JP모건: 카바나 목표가 365 → 32달러로 대폭 하향.

  • 골드만삭스: 금 ETF 및 경기민감주 매집 증가 언급. 연말 금값 전망 3,100 → 3,300달러 상향.

▸ 기타 주요 기업

  • 카바나: JP모건 목표가 하향. 3월 31일 S&P MidCap 400 편입 예정.

  • 노보 노디스크: 미네소타주와 인슐린 월 35달러 상한 합의.

  • 비트팜: EPS 및 매출 모두 서프라이즈 실적 발표.

  • 디스코드: IPO 준비, 골드만삭스·JP모건이 자문사.

  • 오픈AI: 소프트뱅크 주도 400억 달러 투자 유치 마무리 단계.

  • 로빈후드: 유료회원 대상 금융 서비스 출시 예정.

  • 룰루레몬: 실적 발표 예정.

  • 화이자: 백신 발표 시점 관련 연방 검찰 조사 착수.

  • SK하이닉스: 반도체 관세 앞두고 주문 선집행. HBM 수요 강세로 2025년 완판, 2026년 상반기 계약도 임박.

  •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리플·솔라나 거래 지원 확대.


■ 증시와 투자자 관점

▸ 미국 주요 지수

  • S&P500: 0.3% 하락. AI 투자 과잉 우려, 관세 발표 영향.

  • VIX 지수: 6.88% 상승해 18.33 기록. 투자자 심리 위축 반영.

  • 카바나, 3월 31일부터 S&P MidCap 400 지수에 편입 예정.

▸ 글로벌 주요 지수

  • 유럽 증시: 단기 성과는 우수하나 특정 업종(방산·은행) 편중.

  • 아시아 지수: 일본·중국·한국 등 직접 수치 없음. 간접적 AI·관세 이슈 언급됨.

▸ ETF 및 펀드

  • 암호화폐 ETF:

    • 이더리움: 590만 달러 순유입

    • 비트코인: 95만 달러 순유입

  • 금 ETF: 중앙은행 매입과 ETF 자금 유입 증가. 골드만삭스는 금값 전망 3,300달러로 상향.

▸ 금리 및 채권 시장

  •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 4.36%, 전일 대비 1bp 상승.

  • 미국 회사채 및 등급 관련 언급 없음


■ 정치적 이슈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드라이브: 자동차에 대한 관세뿐만 아니라 목재, 의약품, 반도체 등 광범위한 보복 관세 예고.

  • 틱톡 매각 협상: 중국 협조 시 관세 완화도 가능하다는 메시지 발신.

  • EU·캐나다에 대한 강경 메시지: 공동 대응 시 더 큰 제재 예고.

  • 시그널 유출 사건: 미군의 기밀 공격 정보가 트럼프 지지자 커뮤니티에서 유출 → 해킹 주장으로 정치적 책임 회피 논란.

  • 일본 대응: 정당성 문제 제기, 대응 시나리오 9개 준비.

  • 캐나다 대응: 내각 회의 통해 보복관세 검토 중.

  • 우크라이나 관련: 미국, 다음 주 핵심광물 경제협정 예고. 트럼프는 대러 제재 강화 의지 시사.

  • 화이자 백신 발표 지연 논란: 2020년 대선 이전 발표 지연 의혹. 연방 검찰이 공식 수사 착수.


■ 기타 카테고리

  • 미국 개인투자자 심리:

    • 낙관론·중립 심리 소폭 상승, 비관론 감소

    • 해지펀드들은 은행·에너지 등 경기민감주 비중 확대

  • 옵션 만기일 도래:

    • 분기말 및 주간 옵션 동시 만기

    • 투자자 포지션 조정 및 변동성 확대 가능성

  • 알리바바 외신 발언:

    • 데이터센터 과잉 투자 경고로 AI 전반에 투자심리 냉각

    • AI 수요와 투자 지속 여부에 시장 주목

  • Discord IPO 추진:

    •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을 상장 자문사로 선정

    • 하반기 IPO 가능성

  • 오픈AI 기업가치:

    • 소프트뱅크 투자로 기업가치 약 3,000억 달러에 근접

    • AI 생태계 확대와 자금 유입 흐름의 일부로 해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