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 글로벌 경제
▪️ 미국 경제
-
트럼프 대통령, 75개국 대상 관세 90일 유예, 중국은 125% 관세 인상.
-
트럼프, 트루스 소셜에 “지금은 매수 타이밍”이라며 직접 시장 자극.
-
S&P500(+9.5%), 나스닥(+12%) 급등 → 2008년 이후 최대 상승률.
-
개인투자자 33억 달러 순매수, 해지펀드 쇼커버, 레버리지 ETF 매수가 급등 견인.
-
FOMC 의사록: 인플레이션과 경기둔화 동시 발생 우려, 일부 위원은 어려운 정책 결정 경고.
-
10년물 국채 경매 호조로 투자자 수요 견조. 반면 3년물 국채 경매 부진, 금리 상승 압력 확대.
-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 디레버리징 발생 → 채권 금리 변동성 확대.
▪️ 유럽 경제
-
EU, 미국산 제품 230억 달러에 보복 관세 부과 결정 (3단계 시행: 4월 중순, 5월 중순, 12월).
-
대상 품목: 오토바이, 목재, 의료용품 등.
-
독일, 미국과 무역 관계 개선 위한 전략 문서 발표.
-
ECB 내 금리 관련 이견 존재: 동결 또는 인하 주장 병존.
▪️ 중국 경제
-
중국, 미국산 제품에 50+50 보복 관세 공식화 (4월 10일부터 시행).
-
중국 중앙은행, 국유은행에 달러 매입 축소 지시 → 위안화 방어 목적.
-
지도부 고위급 회의 소집: 자본시장 안정, 소비 진작, 수출세 환급 논의.
-
TSMC, 화웨이 AI 칩 제조 혐의로 미국 제재 조사 중, 벌금 가능성 10억 달러.
▪️ 아시아 경제 (중국 제외)
-
베트남(46%), 캄보디아(49%) 등, 미국 고율 관세 대상국 포함.
-
일본은행 우에다 총재: 무역 불확실성 주시, 금리인상 가능성 유지.
✅ 미증시 주요 기업
▪️ AI 및 반도체
-
엔비디아: 캐시 우드 18만 달러 매수. 번스타인 "AI 반도체 밸류에이션 매력 있다".
-
브로드컴: 1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
-
TSMC: 미국의 제재 조사 대상.
-
팔란티어, 인텔: 주가 하락.
▪️ 전기차 및 자율주행
-
테슬라: 에버코의 ‘Best Idea List’ 포함, 목표가는 하향 조정.
-
폭스콘: 닛산과 전기차 협력 추진 발표.
▪️ 소비재 및 기술 기업
-
애플: 중국 노출 우려로 하락.
-
메타: “중국 공산당에 기술 브리핑 제공” 주장 → 의회 증언 예정.
-
델: 관세 회피 위해 출하량 급증, PC 출하량 9.4% 증가.
▪️ 금융 및 에너지 기업
-
JP모건: 개인 순매수 33억 달러, 제이미 다이먼 “시장 전반 레버리지 축소 중”.
-
골드만삭스: S&P500 4,600까지 하락 가능성, 그러나 경기침체 시나리오 철회.
▪️ 기타 주요 기업
-
화이자: 제약 관세 언급 후 주가 하락.
-
월마트, 온홀딩스, 델타항공, 유나이티드헬스, 마이크로봇, 나비타스,
크리스퍼, 게임스탑, 베로, 아처항공, 선레이션 등 개별 뉴스 및 주가 영향 있음.
✅ 증시와 투자자 관점
▪️ 미국 증시 주요 지수
-
S&P500 +9.5%, 나스닥100 +12%: 기술주 중심 반등.
-
다우존스: 수치 미언급이나 반등 흐름.
▪️ 리밸런싱/편입 기업
-
관련 내용 없음.
▪️ 전 세계 주요 지수
-
아시아 증시 급락(베트남, 캄보디아 등 관세 대상국).
-
유럽 시장 지수는 직접 언급 없음, 단 EU의 보복관세 발표로 긴장 고조.
▪️ ETF 및 펀드
-
레버리지 ETF의 기계적 매수 → 나스닥 중심 급등 유도.
-
특정 ETF명은 미언급 (예: TQQQ 등 없음).
▪️ 금리 및 채권 시장
-
10년물 국채 금리: 입찰 호조 → 수요 견조.
-
3년물 국채: 수요 부진, 금리 상승 요인.
-
헤지펀드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 → 채권 매도 압력.
-
중국/일본 국채 매도 우려도 확산.
✅ 정치적 이슈
▪️ 미국
-
트럼프, 75개국 관세 유예 및 중국 125% 관세 인상.
-
트루스 소셜 통해 매수 타이밍 언급 → 시장 직접 자극.
-
제약 관세 도입 계획도 언급.
-
무역대표부: 관세정책 “변화 계획 없음”.
-
베센트 재무장관: “중국이 상황 초래”라고 비판.
-
카시카리 총재: 관세는 인플레 자극, 금리 인하에 제약.
▪️ 중국
-
50+50 보복관세 4월 10일부터 시행.
-
고위급 회의 소집, 위안화 방어 지시.
▪️ 유럽
-
EU 보복관세 230억 달러 규모 확정 (3단계 시행).
-
독일, 양자 관계 개선 위한 전략 문서 발표.
▪️ 인도
-
26% 미국 관세 대응 위해 양자 무역협정 추진 중.
▪️ 스페인
-
미국 재무장관, “중국과의 밀착은 자해행위”라며 스페인 비판.
✅ 기타 카테고리 (중요하지만 상기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이슈)
-
트럼프의 행정명령 서명 예정 시간(새벽 3시 30분)이 시장에 실시간 영향.
-
Meta 내부 고발자, 의회 증언 예정 → 국가안보 위협 제기.
-
미국 무역대표부 청문회: “제조업 회복 위해 고통 감수 필요”.
-
델 PC 출하량 증가: 관세 회피 목적으로 분기 출하량 급등 (4년 만의 최고치).
-
10년 만기 미국 국채 입찰 금리, 입찰 직전 예상치보다 낮음 → 시장은 이를 강한 수요 신호로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