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카드 꺼냈다! FTA맺은 한국도 관세 대상? 왜?

트럼프, 상호 관세 카드 꺼냈다! FTA맺은 한국도 관세 대상? 왜?

작성자 생크션랩

트럼프, 상호 관세 카드 꺼냈다! FTA맺은 한국도 관세 대상? 왜?

생크션랩
생크션랩
@sanctionlab
읽음 1,418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적자를 줄이겠다며 ‘상호 관세’ 도입을 공식화했어요. 각 나라별로 실태를 조사한 후 맞춤형 관세율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 검토는 4월 1일(현지시각)까지 마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 한국도 관세 부과 대상?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지만, 미국이 비관세 장벽(=관세가 아닌 무역 제한 요소)을 이유로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커졌어요. 😵‍💫 즉, 한국이 미국 기업에 불리한 규제를 두고 있다고 판단되면, 관세로 보복하겠다는 의미!

미국은 무역 적자가 큰 나라부터 우선 검토하겠다고 했는데, 한국은 2024년 기준 대미 무역 흑자 8위에 해당해요. 하지만 단순히 흑자 규모 때문이 아니라, 반도체·자동차·배터리 등 미국이 보호하려는 핵심 산업에서 한국과 직접 경쟁하고 있기 때문에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

🔍 비관세 장벽이 뭔데?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각서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포함돼 있어요.

“수입 정책, 위생조치, 무역 기술 장벽, 정부 조달, 수출 보조금, 지식재산권 보호 부족, 디지털 무역 장벽, 반경쟁적 기업 행위 등을 포함해 정부가 부과한 모든 비관세 장벽을 고려할 것”

비관세 장벽(Non-Tariff Barriers, NTBs)은 수입품에 직접 세금을 매기는 ‘관세’ 대신, 다른 방식으로 무역을 제한하는 정책이에요. 미국이 문제 삼는 대표적인 비관세 장벽은 다음과 같아요. ⬇️

📌 위생조치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
식품·농산물·축산물 등에 대한 까다로운 검역 기준

  • 예를 들어, 한국이 광우병 우려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제한했던 사례가 있어요.

  • 미국은 이런 규제가 자국 농축산물의 수출을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라고 주장할 수 있어요.

📌 무역 기술 장벽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
제품 인증, 환경 규제, 안전 기준 등이 까다로워서 미국 제품이 불리해지는 경우

  • 예를 들어, 한국이 전자제품을 판매할 때 요구하는 KC 인증 같은 제도가 미국 기업에는 추가 비용 부담이 될 수 있어요.

  •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이 엄격하면 미국산 자동차가 한국 시장에서 불리해질 수도 있죠.

📌 정부 조달 (Government Procurement) 🏛️💰
정부가 물품을 구매할 때 자국 기업을 우대하는 정책

  • 예를 들어, 한국 정부가 대형 인프라 사업에서 국내 기업(삼성·현대 등) 위주로 계약을 맺으면, 미국 기업은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어요.

  • 미국은 이런 상황을 공정한 경쟁이 아니라고 판단할 가능성이 커요.

📌 수출 보조금 (Export Subsidies) 💸🚢
정부가 특정 산업을 지원해서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경우

  • 미국은 한국 정부가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특정 산업에 지원금을 주는 게 불공정하다고 볼 수도 있어요.

  • 예를 들어, 한국이 자국 기업에 대규모 지원금을 주면 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크겠죠?

📌 지식재산권 보호 부족 (Lack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
특허·저작권 보호가 약해서 미국 기업이 피해를 보는 경우

  • 미국은 한국에서 소프트웨어·음악·영화 등의 불법 복제가 충분히 막히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도 있어요.

  • 만약 한국에서 미국 기업의 기술이나 브랜드가 충분히 보호받지 못한다면, 미국은 이를 이유로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어요.

📌 디지털 무역 장벽 (Digital Trade Barriers) 📲💻
데이터 이동 제한, 현지 서버 의무화 등

  • 미국 IT 기업(구글, 아마존, MS 등)은 데이터를 자유롭게 저장·관리하고 싶은데, 일부 국가는 ‘데이터를 우리나라 서버에 저장해야 한다’는 규제를 두고 있어요.

  • 이런 정책이 있으면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이 문제 삼을 가능성이 높아요.

📌 환율 조작 (Currency Manipulation) 💱📉
정부가 환율을 인위적으로 조정해 자국 제품을 더 싸게 만드는 경우

  • 예를 들어, 한국 정부가 원화 가치를 낮추면 한국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더 싸게 팔리게 되고, 미국 기업이 불리해질 수 있어요.

  • 미국은 이를 불공정 경쟁이라고 주장할 가능성이 있어요.

📌 임금 억제 정책 (Wage Suppression Policy) 📉🏭
정부가 인위적으로 임금 수준을 낮게 유지해 기업이 값싼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 한국이 최저임금을 낮게 유지하거나 임금 상승을 억제하면, 미국 입장에서는 “한국 기업이 저렴한 인건비로 경쟁력을 높이는 게 불공정하다”고 볼 수 있어요.

💬 “반도체,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 보호에도 강한 의지를 보였어요. 😳현재 미국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대부분이 한국과 대만에서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를 미국 내 생산으로 돌리겠다는 강한 압박이죠.

🚨 한국 기업들, 전략적 대응 필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중국에 추가 관세(10%), 철강·알루미늄에도 25%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요. 💥
📢 한국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이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할 듯!

미국의 관세 카드,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