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밤 글로벌 경제 이슈 한번에 정리하기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어제 밤 글로벌 경제 이슈 한번에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겠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글로벌 경제
-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증가. 주요 타격 대상국은 캐나다, 멕시코, 한국, 중국 등.
-
AI 기술 발전과 각국의 규제 완화 논의가 글로벌 경제 혁신의 중심으로 떠오름. 파리에서 열린 AI 정상 회의에서는 규제보다는 혁신 장려에 초점을 맞춤.
-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 에너지 및 원자재 시장에 영향, 유가 상승에 기여.
미국 경제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며 자국 산업 보호 목표. 상호 관세 부과 가능성도 검토 중.
-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전략적 산업에 미치는 영향 모니터링 중.
-
-
소비자 심리 및 기대 인플레이션:
-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조사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4.3%로 상승하며 시장 불안감이 증폭.
-
이번 주 발표되는 CPI(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
-
금리와 경제 성장:
-
연준은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회사채 시장의 위험 프리미엄이 증가할 가능성 있음.
-
골드만삭스는 트럼프의 이민 정책이 미국 노동력 감소를 초래하여 GDP 성장률이 0.3%~0.4%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유럽 경제
-
파리 AI 정상 회의:
-
세계 정상과 기술 기업 임원들이 모여 AI 기술 도입 방안을 논의. 규제보다는 혁신 장려를 중심으로 진행됨.
-
일부 전문가들은 AI 기술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사회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
-
-
에너지 수요:
-
유럽 내 천연가스 가격 급등이 유가 상승에 기여하며, 글로벌 원자재 시장 변동성 증가.
-
-
무역 관계:
-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사용하며 유럽과의 무역 관계에서 재협상 가능성을 암시.
-
중국 경제
-
미국 관세 영향: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중국에 미치는 직접적인 타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
중국의 평균 관세율은 WTO 가입 이후 3% 수준으로 낮아져 상호 관세 전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함.
-
-
선적 증가:
-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비하여 선적을 서두르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1월 상하이 항구에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
-
미증시 주요 기업
1.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
-
엔비디아 (NVIDIA):
-
오픈AI가 엔비디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AI 칩 설계를 계획 중이며, TSMC와 협력해 AI 서버 생산과 양산 진행.
-
-
브로드컴 (Broadcom):
-
오픈AI의 AI 칩 설계에 협력 중.
-
-
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
오픈AI의 AI 칩 양산을 담당하며, 1월 매출이 전년 대비 35.9% 증가했으나 지진 손실 발생.
-
2. 전기차 및 자율주행
-
테슬라 (Tesla):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전기차 생산 비용에 미칠 영향을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음.
-
3. 소비재 및 기술 기업
-
애플 (Apple):
-
폭스콘의 1월 매출 증가 소식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AI 및 반도체 공급망 이슈 모니터링 중.
-
-
메타 (Meta):
-
단계적 정리 해고로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함.
-
4. 금융 및 에너지 기업
-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
트럼프의 이민 정책이 미국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을 경고.
-
-
뱅크오브아메리카 (Bank of America):
-
모비아이 관련 투자 의견을 상향하며 긍정적 평가.
-
5. 기타 주요 기업
-
폭스콘 (Foxconn):
-
1월 매출 증가로 1분기 실적 전망이 상향 조정됨.
-
-
오픈AI:
-
브로드컴 및 TSMC와 협력하여 자체 AI 칩 설계 및 양산 계획을 추진.
-
-
리프트 (Lyft):
-
모빌아이와 협력해 2026년 완전 자율주행 로봇 택시 도입 계획 발표.
-
-
글로벌 스타 (Globalstar):
-
MDA 스페이스와 차세대 저궤도 위성군 구축 계약 체결.
-
증시와 투자자 관점
1. 미국 증시 주요 지수
-
나스닥100:
-
AI 및 기술주 강세 전망으로 나스닥 선물 0.7% 상승.
-
CPI 발표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
S&P500:
-
선물 시장에서 0.5% 상승. 트럼프 관세 정책이 산업별 변동성을 확대시킬 가능성.
-
-
다우존스:
-
중공업 및 자동차 관련 종목에 하방 압력이 가해질 가능성.
-
2. 전 세계 주요 지수
-
유럽:
-
FTSE: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
-
DAX (독일): AI 및 반도체 공급망 이슈로 변동성 예상.
-
CAC (프랑스): 에너지 정책 변화가 투자 심리에 반영.
-
-
아시아:
-
Nikkei (일본): 글로벌 반도체 수출 증가 기대감.
-
KOSPI (한국): 반도체 및 전기차 관련 종목 강세.
-
Shanghai (중국): 미국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나 선적 증가로 물류 부담 증가 가능성.
-
3. ETF 및 펀드
-
AI 및 반도체 관련 ETF:
-
TSMC, 엔비디아 등의 실적 발표가 ETF 시장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
-
-
클린에너지 ETF:
-
트럼프의 친환경 프로젝트 예산 중단으로 투자 심리 위축.
-
-
암호화폐 ETF:
-
브라질 증권거래소의 비트코인 옵션 출시 계획이 관심 증가에 기여.
-
4. 금리와 채권 시장
-
미국 국채 금리: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금리 변동성 증가 가능성.
-
-
미국 회사채:
-
관세 정책으로 인해 회사채 시장의 위험 프리미엄 확대 가능성.
-
정치적 이슈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발표.
-
상호 관세 부과 가능성도 검토 중.
-
-
미국-중국 무역 갈등:
-
중국의 낮은 관세율로 인해 상호 관세 전쟁에서 유리한 입지 예상.
-
-
AI 규제 및 기술 도입:
-
AI 도입에 대한 규제보다 혁신 장려가 중심. 일부 전문가들은 AI 위험성 경고.
-
-
에너지 정책:
-
1.4억 달러 규모의 친환경 프로젝트 예산 집행 중단.
-
기타 카테고리
-
골드 상승:
-
중국 인민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리며 금값이 최고치를 경신.
-
글로벌 투자자들이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 비중 확대.
-
-
암호화폐:
-
브라질 증권거래소가 비트코인 옵션 및 이더리움 선물 출시 계획 발표.
-
홍콩 정부는 투자 심사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함하며 시장 유동성 증가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