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그느드
그느드
@rmsmem
읽음 673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 1. 글로벌 경제

🔹 소비자 심리 및 경제 동향

  • 미국의 소비자 신뢰 지수가 2020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며 시장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음.

  •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 심리 위축, 경기 둔화 가능성이 제기됨.

  • 기업 투자와 소비 지출 둔화가 이어질 경우 연준의 금리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존재함.

🔹 AI 및 반도체 시장

  • 엔비디아 H20 칩에 대한 중국 대기업(텐센트,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의 주문이 급증하며 AI 관련 반도체 시장의 수요 증가를 시사.

  • 그러나 미국의 반도체 규제 강화 조치로 인해 향후 공급망이 더욱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음.

  • 유럽과 아시아 증시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 강화 우려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유럽 및 아시아 시장

  • 유럽과 아시아 증시는 미국의 반도체 제재 및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

  • 일본·네덜란드가 미국과 협력하여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를 논의 중이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인도네시아는 아이폰 16 판매 금지를 해제하는 조건으로 애플의 10억 달러 투자를 요구하며 글로벌 IT 기업들의 신흥 시장 진출 전략이 변화할 가능성이 제기됨.

🔹 글로벌 에너지 및 원자재 시장

  • 국제 유가는 미국과 이란의 갈등,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면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

  • 또한 미국의 원유 재고 증가 발표를 앞두고 시장이 신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비트코인은 최근 바이비트 해킹 및 스테이블코인 관련 보안 문제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가격 하락세를 보임.


💼 2. 미증시 주요 기업

🔹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

  • 엔비디아 (NVIDIA):

    • 미국의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자극.

    • 중국 AI 기업들(텐센트, 알리바바, 바이트댄스)이 엔비디아의 H20 칩 주문을 대거 확대, AI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 엔비디아와 시스코가 협력하여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구축을 확대한다는 발표가 나옴.

  • 인텔 (Intel):

    • 미국 반도체 제재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감소 가능성이 제기되며 주가 약세.

    • ASML의 신형 리소그래피 장비를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 향후 반도체 수율 개선 기대.

  • TSMC (Taiwan Semiconductor):

    • 대만 증시에서 TSMC 관련 ETF 투자 비율 조정 가능성이 언급됨.

    • 미국 반도체 제재가 본격화될 경우 대만 반도체 산업이 주요 대체 공급망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커짐.

  • 팔란티어 (Palantir):

    • 내부자 주식 매도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 AI 및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정부 및 국방 관련 수주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 변동성이 확대됨.

🔹 전기차 및 자율주행

  • 테슬라 (Tesla):

    • 유럽에서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45% 급감,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와 브랜드 이미지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 중국에서는 FSD (Full Self-Driving) 기능을 제한적으로 배포, 그러나 미국 버전 대비 기능이 상당히 축소됨.

    • 독일에서 만하임 부지를 일부 인수, 유럽 시장에서의 생산 및 물류 기반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임.

  • 루시드 (Lucid Motors):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급속 충전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

    • 그러나 여전히 재무적 불안정성이 크며, 경쟁사 대비 생산 속도가 느려 주가가 변동성을 보임.


📈 3. 증시와 투자자 관점

🔹 미국 증시 주요 지수

  • 나스닥100:

    • 9월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하며 5% 하락.

    • 기술주 중심의 조정이 지속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

  • S&P500:

    • 0.5% 하락, 경기 둔화 우려가 반영되며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세 유입.

  • 다우존스:

    • 보합 마감, 그러나 전반적인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향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음.

🔹 전 세계 주요 지수

  • 유럽 (FTSE, DAX, CAC):

    • 미국 반도체 규제 강화 발표 이후 반도체 관련 주식의 변동성이 확대.

    • 독일 및 프랑스 증시에서도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며 주요 지수 하락세.

  • 아시아 (Nikkei, KOSPI, Shanghai):

    • 중국 반도체 제재 논의에 따라 SMIC, 창신 메모리 등 중국 반도체 기업 주가 하락.

    • 한국 및 일본 증시는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조정 국면.


🏛 4. 정치적 이슈

🔹 미국의 대중 반도체 규제 강화

  •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네덜란드와 협력하여 중국 반도체 산업 제재 강화 추진.

  • SMIC, 창신 메모리 등 특정 중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기술·장비 수출 제한 확대 논의.

  •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AI 칩 (H20)에 대한 규제 강화 가능성이 제기됨.

🔹 트럼프의 무역 정책 및 관세 강화

  •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

  • 멕시코 대통령은 "다음 화요일까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타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언급.


🔍 5. 기타 주요 이슈

  •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Super Micro Computer): 나스닥 상장 유지를 위한 보고서 제출 마감 기한 도래.

  • 블랙 스카이 (BlackSky): 미국 정부 계약을 수주하며 우주 관련 기술 투자 확대.

  • 템퍼스 AI (Tempus AI): 실적 발표에서 AI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성을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