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첫 기후변화적응보고서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우리나라 첫 기후변화적응보고서

기후위기가 심각하다는 얘기 여기저기서 들리잖아요. 관련 연구나 보고서도 많이 나오고요. 그런데 이번에 우리나라 정부가 처음으로 유엔에 기후위기에 대한 보고서를 냈어요. 보고서 이름은 기후변화*적응보고서.
갑자기 보고서는 왜?
8년 전인 2015년,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195개 나라가 프랑스 파리에 모여 ‘지구 온도 오르는 속도 늦추자!’고 약속했는데요(=파리협정). 이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이 “약속한 나라들, 보고서 내!” 권했거든요. 영국·호주 등 50여 개 나라는 이미 보고서를 냈는데, 우리나라는 이제야 낸 거예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야?
원본은 여기서 볼 수 있는데요. 핵심만 몇 개 정리해 보면:
-
우리나라 온난화 초고속 🌡️: 지난 109년 동안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약 1.6℃ 올랐는데요. 이는 전 세계 평균(1.09℃)보다 1.4배나 많이 오른 거예요. 바닷물 표면 온도는 세계 평균의 2.6배 넘게 올랐고요.
-
기후재난으로 경제 피해 💸: 지난 10년 동안 기후위기로 생긴 재해가 만든 경제적 손실은 3조 7000억 원에 달해요. 복구하는 데 쓴 돈은 그 2~3배고요.
-
너무 뜨거운 미래 🔥: 이대로라면 21세기 말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2.3~6.3℃ 높을 거라고. 빙하기와 오늘날 평균 기온이 고작 6℃ 차이인 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폭이에요. 폭염·열대야도 더 잦아져요.
-
기후위기 최선은 바로 💨: 이산화탄소 줄이기, 즉 탄소중립이란 걸 한 번 더 강조했어요. 탄소를 잡아야 지구 기온이 오르는 속도를 늦출 수 있기 때문.
보고서 내면 뭐에 써?
당장 뭐가 엄청나게 달라지는 건 아닌데요. 유엔이 각 나라가 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전지구적 이행점검, GST) 자료로 쓰여요. 이를 토대로 여러 나라가 함께 기후위기 시나리오를 제대로 내다봐서, 해야 할 일을 추려볼 수 있고요.
+ 기후위기는 알겠는데 기후위기 적응? 🤔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어떻게 적응할지 얘기해 보자는 건데요. 2가지로 나뉘어요:
-
완화·감축(mitigation): 온실가스를 줄이거나, 생긴 온실가스를 없앨 수 있게 머리부터 발끝까지 달라지자. (예: 탄소중립 지키기)
-
적응(adaptaion): 이미 상황이 심각하니 일단 피해를 줄이자. 위기를 기회로도 삼아보면 더 좋고. (예: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건물 높게 짓기)
물론 칼로 무 베듯 딱 둘로 나눌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적응에도 탄소를 감축해 피해를 줄이는 게 포함되거든요. 이번 보고서에도 완화·감축과 적응 차원의 접근이 모두 담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