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탄]금리가 변동됐다고📉📈? 그러면 어떻게 되는건데🤔?
작성자 강준
경제적 사고 ‘틀’ 갖추기
[7탄]금리가 변동됐다고📉📈? 그러면 어떻게 되는건데🤔?

안녕하세요, 강준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중앙은행과 중앙은행이 금리 조절을 단행했을때, 경기전반에 어떤 매커니즘으로 적용이 되는건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금리 조절에 따라 경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heme 03. 금리 조절에 따른 돈의 유동성 변화
금리가 올라갈 경우
금리는 돈의 가격이기에, 금리가 오른다는 뜻은 돈의 값이 오른다는 말과 같죠. 따라서 돈을 저축하려는 유인은 증가하고(돈의 공급 증가) 돈을 대출하려는 유인은 줄어들게(돈의 수요 감소) 됩니다. 돈을 빌리지 않을 뿐더러 가지고 있는 돈을 저축에 넣게 되니, 각 경제 주체들이 소유하고 있는 돈의 양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자연스럽게 경기 전반에 소비를 위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돈의 값이 올라가게 되니 대출을 받기가 꺼려지게 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설비투자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죠. 이로인해 일자리가 감소되는 효과까지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면 경기 전반에 돈의 유동성이 묶이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금리가 내려갈 경우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돈을 저축하려는 유인은 감소(돈의 공급 감소)하고 돈을 대출 받을는 유인은 증가(돈의 수요 증가)하게 됩니다. 돈을 온전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돈을 빌리게 되니, 각 경제 주체들이 소유하고 있는 돈의 양은 증가하게 됩니다.따라서 이는 자연스럽게 경기 전반에 소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돈의 값이 내려가게 되니 대출을 받으려는 동기가 강해지고 이는 자연스럽게 설비투자를 증가시키는 동력이 됩니다. 이로인해 일자리가 증가하는 효과까지 나타날 수 있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금리가 내려가면 경기 전반에 돈의 유동성이 풀리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위 두 상황을 요약하자면,
금리 상승은 유동성을 조이는 효과로, 금리 인하는 유동성을 푸는 효과로 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물가안정과 고용안정을 위해 상황에 맞게 금리를 조정하는데요, 경기가 과열 되어 물가 상승이 우려된다면 금리 인상을, 소비가 위축되어 경기가 침체로 갈 것 같으면 금리 인하를 단행하여 경기를 조정시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방향은 저희가 살고 있는 사회 경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힌트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하셔야 할 것은 금리 정책이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해, 금리 인상이 무조건 나쁘고 금리 인하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 것이죠. 예를 들어, 금리 인상은 경기를 위축시킬 수 있지만 물가를 안정시킬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 인하는 경기를 성장시킬 수 있지만 물가를 상승시킬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금리 조절은 다른 많고 다양한 좋고 나쁜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죠.
금리 정책은 강력한 무기이지만 만능은 아닌 겁니다.
따라서 금리를 변동했다고 하여 그것이 좋을지 나쁜지는 그 누구도 알지 못합니다. 그저 ‘그럴 가능성이 있을 수 있겠구나’라고 추측할 뿐이죠.
정리하겠습니다
금리 인상은 돈의 유동성을 묶어 경기 전반의 자금 순환을 막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경기가 위축 되는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지만 물가 안정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죠. 반면 금리 인하는 돈의 유동성을 풀어 경기 전반의 자금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경기가 성장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지만 물가 상승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죠. 그리고 중앙은행은 긍정적 결과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상황에 맞는 금리 정책을 단행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정말로 옳았던 것인지 틀렸던 것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경제에서는 절대적인 것이 없기 때문이죠.
단지 우리는 이론과 과거를 가지고 현재를 분석하고 예측할 뿐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금리 조절은 경기 전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심화적인 내용인 금리와 채권가격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