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A to Z] J. 직장인 데스노트 : 사내 빌런 물리치기🔪④
작성자 겨울에온초코바
노무사가 들려주는 노동법 A to Z
[노동법 A to Z] J. 직장인 데스노트 : 사내 빌런 물리치기🔪④

오늘의 아티클은 '사내 빌런 물리치기' 시리즈의 마지막 편!
어떤 상황이든 사용할 수 있는 빌런 대응 가이드북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이번 콘텐츠가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는 점에 뿌듯하면서도
직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이렇게 많다는 점이 안타깝기도 하였는데요.
모두가 평안한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더 알찬 내용을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 지난 아티클 내용

직장에서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 방법을 종합해보았는데요.
본인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리 적용하며 가장 좋은 대응 방법을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당사자에게 거부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
자신의 행동으로 타인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점이 불편한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어요.
(장점) 가장 빠르고 간단한 해결 방법이며, 서로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단점)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성향에 따라 타인의 이야기를 받아들이지 못할 수 있음.
(준비사항) 상대방의 입장에서 '나'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거부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함. 다만, 단호한 표정 혹은 말투로 상대방이 사안의 심각성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함.
2️⃣ 상급자에게 스트레스 상황을 이야기 하기
스트레스 상황 및 스트레스를 대상의 성향 등에 따라 직접 이야기하는 것 보다
그 상급자와 이야기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장점) 비교적 빠르고 간단하게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관련 소문이 퍼질 가능성이 낮음.
(단점) 상급자가 타인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보다 신뢰할 수 있으며, 상황을 무마하려고
할 수도 있음. 또한, 원하지 않더라도 HR 부서에 이슈를 공유하여 정식 조사를 진행할 수 있음.
(사전준비) 상황에 대한 설명과 원하는 바(팀 변경, 사과 등)를 명확히 이야기해야 함.
대상자와 주고받은 메신저, 음성 녹음 등 증거를 함께 제시하며,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은 지양함.
3️⃣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
상급자를 신뢰할 수 없고, 스트레스 상황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의심되는 경우
사내 HR 부서 및 고용노동부에 관련 내용을 신고할 수 있음.
(장점) 관련 법률에 따라 보호 받을 수 있으며, 회사에서 반드시 객관적 조사를 실시해야 함.
(단점)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지 않거나, 인정되더라도 대상자가 해고되지 않을 경우
추후 회사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 또한, 조사 과정에서 사내에 소문이 퍼질 수 있음.
(사전 준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증거가 반드시 필요함. 대화 녹음, 그간 있었던 일을 주변 사람들에게 토로한 SNS 대화 내용('상대방'과 대화 내용 X), 일기장,
주변 동료의 증언 등 증거로 채택할 수 있는 내용은 다양함.
(괴롭힘 인정) 지위 /관계의 우위성, 업무상 적정범위, 신체적/정신적 고통 모두 인정 필요
4️⃣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성희롱을 신고
상급자를 신뢰할 수 없고, 스트레스 상황이 직장 내 성희롱으로 의심되는 경우
사내 HR 부서 및 고용노동부에 관련 내용을 신고할 수 있음.
(장점) 관련 법률에 따라 보호 받을 수 있으며, 회사에서 반드시 객관적 조사를 실시해야 함.
(단점)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지 않거나, 인정되더라도 대상자가 해고되지 않을 경우
추후 회사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 또한, 조사 과정에서 사내에 소문이 퍼질 수 있음.
(사전 준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증거가 반드시 필요함. 대화 녹음, 그간 있었던 일을 주변 사람들에게 토로한 SNS 대화 내용('상대방'과 대화 내용 X), 일기장,
주변 동료의 증언 등 증거로 채택할 수 있는 내용은 다양함.
(성희롱 인정)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사람의 입장에서 상대방으로 하여금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할만한 성적 언동이 인정되어야 함.
직장에서 발생하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당사자에게 거부 의사를 명시적으로 표시
2️⃣ 상급자에게 스트레스 상황을 이야기 하기
3️⃣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
4️⃣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성희롱을 신고
이 외에도 심리 상담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케어하는 방법도 있을 텐데요.
하지만 근본적인 스트레스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황을 바꾸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는 점!
가장 소중한 자신을 지키는 방법이니 모두 기억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그럼 오늘도 모두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 더 알찬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