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A to Z] J. 직장인 데스노트 : 사내 빌런 물리치기🔪②

[노동법 A to Z] J. 직장인 데스노트 : 사내 빌런 물리치기🔪②

작성자 겨울에온초코바

노무사가 들려주는 노동법 A to Z

[노동법 A to Z] J. 직장인 데스노트 : 사내 빌런 물리치기🔪②

겨울에온초코바
겨울에온초코바
@user_ykgnyj0qmw
읽음 1,098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저번 아티클에서는 직장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어떻게 하면 그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관련 법률 뿐만 아니라 소통의 기술 등 다양한 시각에서 해결방법을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직장 빌런에 맞서기


지난 시간에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들은 복합적일 수 있기 때문에
최초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는 점과 그 방법을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최초 원인이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직장에서 타인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민법」, 「형법」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각각 케이스들을 통해 어떤 방법으로 빌런들을 물리칠 수 있는지 고민해보도록 해요.


  • 문제상황

    의류 회사에서 근무 중인 사원 '을'은 매일 밤마다 출근이 두려워 악몽을 꿈.

    근 1년 간 '팀장 '갑'은 '을'에게만 과도한 업무를 부여하고, 기한 내 수행하지 못할 경우
    "그런 실력으로 우리 회사에 어떻게 들어오셨어요?", "그렇게 팀에 민폐 끼칠 거면 나가는 게 낫지 않아요?" 등 '을'을 비하하거나 퇴사를 종용하는 발언을 지속적으로 함.


  • 해결 방법

    '을'의 스트레스 원인은 '갑'으로 보임. ① '갑'의 상급자와 이야기하거나,
    ②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괴롭힘으로 '갑'을 신고할 수 있음.


  • 필요 사항 : ① '갑'의 상급자와 이야기

    (장점) 빠르고 간단하게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관련 소문이 퍼질 가능성이 비교적 낮음.

    (단점) 상급자는 직책자인 '갑'의 이야기를 '을'의 이야기보다 신뢰할 수도 있으며,

    상급자의 성향에 따라 상황을 무마하려고 할 수 있음.
    또한, 원하지 않더라도 상급자가 HR 부서에 이슈를 공유하여 정식 조사를 진행할 수 있음.

    (사전 준비) 상황에 대한 설명과 원하는 바(팀 변경, 사과 등)를 명확히 이야기해야 함.
    증거를 함께 제시하며,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은 지양함.


  • 필요 사항 : ②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장점)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시, 관련 법률에 따라 보호를 받을 수 있음.

    (단점)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지 않거나, 인정되더라도 '갑'이 해고되지 않을 경우
    추후 회사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 또한, 조사 과정에서 사내에 소문이 퍼질 수 있음.

    (사전 준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증거가 반드시 필요함.

    '갑'과의 대화 녹음, 그간 있었던 일을 주변 사람들에게 토로한 SNS 대화 내용('갑'과 대화 내용 X), 일기장, 주변 동료의 증언 등 증거로 채택할 수 있는 내용은 다양함.

    (괴롭힘 인정) 지위 /관계의 우위성, 업무상 적정범위, 신체적/정신적 고통 모두 인정 필요


  • 문제상황

    'A', 'B', 'C'는 마케팅팀에서 근무 중임. 'A'는 4개월 전 다른 회사에서 이직해 온 5년차
    경력 사원이고, 'B'와 'C'는 2년 전 신입 사원으로 채용 되어 지금까지 근무하는 중임.
    'A'는 'B', 'C'와 잘 지내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B', 'C'는 'A'를 지속적으로 따돌림.
    'A'의 번호를 "호구"라고 저장하여 고의적으로 업무를 떠넘기고,
    'A'가 없는 단체 메신저 방을 만들어 'A'의 용모나 옷차림 등에 대해서 지적하기도 함.


  • 해결 방법

    'A'의 스트레스 원인은 'B'와 'C'로 보임. ① 상급자와 이야기하거나,
    ② 사내 HR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괴롭힘으로 'B'와 'C' 를 신고할 수 있음.


  • 필요 사항 : ① 상급자와 이야기

    (장점) 빠르고 간단하게 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관련 소문이 퍼질 가능성이 비교적 낮음.

    (단점) 상급자의 성향에 따라 상황을 무마하려고 할 수 있으며, 상급자가 'B', 'C'와
    친분이 더욱 두터운 경우 'A'의 이야기를 신뢰하지 않을 수도 있음.

    (사전 준비) 상황에 대한 설명과 원하는 바(팀 변경, 사과 등)를 명확히 이야기해야 함.
    증거를 함께 제시하며,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은 지양함.


  • 필요 사항 : ②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장점)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시, 관련 법률에 따라 보호를 받을 수 있음.

    (단점)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지 않거나, 인정되더라도 'B', 'C'가 해고되지 않을 경우
    추후 회사 생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음. 또한, 조사 과정에서 사내에 소문이 퍼질 수 있음.

    (사전 준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증거가 반드시 필요함.

    특히, 따돌림의 경우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어려울 수 있음.
    위 상황에서는 1) 'B', 'C'가 'A'를 호구라고 지칭하였다는 내용과
    2) 'A'를 조롱한 단체 채팅방의 내용을 확보해야 함.
    이를 증언해줄 수 있는 주변 동료들의 도움이 무엇보다 필요한 사안으로 생각됨.

    (괴롭힘 인정) 지위 /관계의 우위성, 업무상 적정범위, 신체적/정신적 고통 모두 인정 필요


1️⃣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하여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민법」, 「형법」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 상급자와 대화하는 방법 또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상급자-하급자 간 갈등, 동료 간 갈등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이어서 성별 간 갈등, 세대 간 갈등 등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세대 간 갈등의 경우 상호 이해가 필요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법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해결 방법이 필요한데요.

다음 컨텐츠도 함께 고민을 나누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남은 하루도 행복하게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