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작성자 지현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지식 알리기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지현
지현
@user_rtkgkuruu7
읽음 682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지난주에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나라들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이번주에는 우리나라가 주로 개발하고 있는 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조시간을 활용하는 태양광

확대이미지

일조량은 대지에 공급되는 태양에너지의 총량을, 일조시간은 태양빛이 구름이나 안개에 가려지지 않고 대지에 비친시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조시간이 길수록 일조량이 올라갑니다. 우리나라는 독일 등 주요 유럽국가보다 일조시간이 길고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에너지를 개발하기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많은 부지를 필요로 하는데 비해 국토가 넓지 않은 우리나라는 산업단지 지붕, 주차장, 건물 옥상 등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농업과 태양광 사업이 병행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바닷가의 바람을 활용하는 풍력

확대이미지

우리나라는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풍력발전단지로 활용하기에 유리합니다. 특히 풍력은 일조시간에만 에너지를 쓸 수 있는 태양광에 비해 변수가 적은 편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수급하기에 용이합니다.

풍력발전기는 높은 곳에서 바람개비 형태의 날개가 움직이기 때문에 철새들에게 피해가 될 수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날개의 3분의 2만 흰색으로 칠하여 새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수간만의 차를 활용하는 조력

시화호조력발전소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조력 발전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조석이 발생하는 곳의 바닷물을 가두고, 수차발전기를 설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물의 밀도가 공기보다 훨씬 높기에 소규모 발전기로도 전기생산이 가능하고 항상 일정량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하루에 24만 4000kW의 전기를 생산하여 50만명 규모의 도시가 사용하는 전기량을 생산할 수 있어 세계에서 발전량이 가장 큰 조력발전소로 꼽히기도 합니다.

2주 동안 "에너지에 대한 올바른 지식 알리기" 시리즈의 문을 열기 위해 에너지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나라들, 우리나라가 주력을 두고 있는 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본격적으로 에너지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전, 다음주에는 쉬어가는 타임으로 에너지 관련 용어들의 풀이와 환경과 관련해 잘못 알고 있는 지식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