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육·성평등 책이 학교 도서관에서 사라진 이유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성교육·성평등 책이 학교 도서관에서 사라진 이유

뉴니커, 요즘 학교·공공 도서관에서 성교육·성평등 관련 책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 들었나요? 전국 곳곳에서 ‘금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건데요. 대체 무슨 일인지 뉴닉이 살펴봤어요.
금서 논란? 그게 무슨 일이야...
학교나 지역 공공도서관에 있는 성교육·성평등·인권 도서의 열람이 제한되거나 책이 폐기되고 있는 거예요.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
“이 책 빼주세요” 🚫: 이번 논란은 작년 5월 충청남도에서 처음 시작됐어요. 일부 보수 단체가 120종의 책을 콕 집어 “이 책 문제 있으니 도서관에서 빼주세요!” 하고 공공도서관에 끊임없이 민원을 넣은 것.
-
사라진 책들 📚: 민원을 견디지 못한 도서관들은 해당 책들을 책장에서 빼기 시작했어요. 국민의힘 소속인 김태흠 충남지사는 책 7종을 충남의 36개 도서관에서 열람하지 못하게 했다고 밝혔고요.
-
전국으로 퍼진 ‘전쟁’ 💥: 충남뿐 아니라 경기·경남·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기 시작했어요. 경기도의 경우, 민원이 이어지자 교육청이 초등학교들에 “문제 있는 책 확인해서 처리해주세요” 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이에 학교 도서관에서 1년 사이 2500권 넘는 책이 폐기됐고요.
뭐가 문제라는 거야?
민원을 넣은 보수 학부모 단체들은 다양성이나 젠더, 성인지감수성, 동성애, 성전환, 임신중단 등을 ‘정당화’하는 내용이 담긴 책이라 어린이·청소년에게 해로운 ‘유해도서’라는 입장이에요. 성관계·임신·피임 방법을 너무 자세히 묘사해서 성적 호기심을 과도하게 부추긴다거나, 인권을 이유로 성정체성·가족의 개념을 무너뜨린다는 주장도 했고요. 페미니즘 관련 책에 대해서는 남녀 간 갈등을 부추긴다고 주장하기도 했다고. 하지만 이에 대한 비판과 반발도 만만치 않아요.
어떤 얘기가 나오는데?
-
도서 검열이야 🧐: 출판단체와 인권단체들은 이런 움직임이 ‘도서 검열’이라고 반발해요. 출판의 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것. 어떤 책이 자신의 이념·가치관에 어긋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그 책을 읽을 권리까지 빼앗을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요.
-
문제 없는 책이야 🤷: 보수 단체들이 ‘유해도서’라고 말한 책 중 상당수는 국내외에서 우수도서로 추천된 책들이에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간행물윤리위원회가 해당 책 중 68권을 심의한 결과, 67권에 ‘문제 없음’ 판정을 내리기도 했고요. 문제 있다고 판단한 1권도 스웨덴 성교육 전문가가 쓴 책으로, 여러 나라에서 번역·출판돼 많은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은 책이라 “문제 있는 거 맞아?” 하는 말이 나와요.
-
절차 문제 있어 🏫: 일부가 “문제 있어!” 말한 걸 그대로 받아들여 책을 폐기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있어요. 책 폐기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 각 학교에 공문을 내려보낸 경기도교육청은 “현황을 조사한 것일뿐, 폐기하라는 얘기가 아니었다”고 해명했어요. 각 학교 도서관 운영위원회가 자율적으로 판단했다는 것.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교육청이 내려보낸 ‘지침’을 따라 폐기했다는 입장이라고.
전문가들은 이런 일이 반복되면 도서관 담당자들이 논란을 피하려고 ‘자기검열’을 할 수 있다고 걱정해요. 그러면 도서관에서 읽을 수 있는 책의 다양성이 떨어질 수 있고요. 무엇보다 도서관은 외부의 압력이나 이념·정치·종교적 검열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말이 나와요.
+ ‘도서관 전쟁’의 시작, 미국 🇺🇸
미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도서관 전쟁’이 벌어지고 있어요. 보수 단체들이 동성애나 미국의 인종차별 역사를 다룬 책을 겨냥해 조직적으로 도서관 퇴출 운동에 나선 것. 보수 쪽인 공화당이 정권을 잡은 주들은 이런 주장을 받아들여 책을 ‘금서’로 지정했어요. 반대편인 민주당이 정권을 잡은 주에서는 ‘금서 지정 금지법’을 만들고 있는데요. 갈수록 심해지는 보수 vs. 진보의 대립이 도서관을 무대로 한 ‘문화 전쟁’으로 나타나는 거라는 분석이 나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