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웨이브 합병과 OTT 시장 영향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티빙·웨이브 합병과 OTT 시장 영향

다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2.7개쯤은 구독하고 있잖아요. 최근 우리나라의 대표 ‘토종 OTT’ 티빙·웨이브가 “우리 살림 합칠게요!” 해서 시장이 술렁이고 있어요.
둘이 합친다고?
국내 OTT 시장을 꽉 쥐고 있는 건 넷플릭스인데요. 둘이 합치면 ‘넷플릭스 게 섯거라’가 완전 가능하다고 본 거예요.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
점유율 따라붙어: 넷플릭스의 국내 OTT 시장 점유율은 38%예요. 티빙(18%)과 웨이브(14%)가 합치면 시장 점유율 32%로 넷플릭스를 바싹 따라잡을 수 있다는 거예요.
-
이용자 수 따라붙어: 지난 10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순위는 넷플릭스(1137만 명)와 쿠팡플레이(527만 명)의 뒤를 이어 티빙·웨이브가 3위(510만 명), 4위(423만 명)인데요. 티빙·웨이브가 합치면 국내 OTT 중 유일하게 넷플릭스와 겨룰 수준이 될 거라고(933만 명).
-
지금 당장 해야 해: 합병 얘기는 계속 있었는데요. 티빙의 모회사인 CJ ENM vs. 웨이브의 모회사인 SK스퀘어 중 ‘누가 최대 주주가 될 것인지’ 기 싸움을 하느라 계속 제자리걸음 상태였어요. 그러다 “더 미루다간 토종 OTT 말라 죽겠어!” 하며 최근 극적 타결을 이뤘다고. 빠르게 치고 들어오는 쿠팡플레이에 위기감을 느꼈다고도 하고요.
근데 합치면 뭐가 좋아?
-
플랫폼 크기 확 키우고 🦖: ‘이용자 수 = 보장 수익’이다 보니 제작사들과 협상할 때 유리해지고, 좋은 시나리오·배우를 확보하는 데도 도움 돼요. 여러 플랫폼을 구독하며 감상할 필요 없이 하나만 보면 되니 구독자도 좋아하고요.
-
콘텐츠 경쟁력 강화하기 💪: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도 숨통이 트여요. 티빙·웨이브 모두 작년 기준 적자가 각각 1192억 원·1217억 원으로 심각해요. 오리지널 콘텐츠도 잘 못 만들었는데요. 합병을 통해 제작사 등에 대한 협상력도 높이고, 그간 경쟁으로 낭비되던 돈도 줄여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힘쓸 거라고.
앞으로 어떻게 될까?
-
아직 심사 남았습니다 📑: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심사를 통과해야 두 회사가 합칠 수 있어요. 합병으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피는 건데요. 두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전체의 30%가 넘게 되는 거라, 통과할 수 있을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
공룡...이 될 수 있을까? 🤔: 합병이 생각만큼 큰 효과로 이어지지 않을 거라는 전망도 나와요. 두 서비스를 모두 구독하고 있는 사람이 많아서, 합병이 이뤄져도 구독자 수가 900만 명대가 아닌 600만 명대에 그칠 수도 있다고.
+ OTT 시장 상황 안 좋아? ☁️
OTT 시장은 코로나19로 사람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며 크게 성장했는데요. 지금은 플랫폼들 간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신규 가입자를 확보하거나, 기존 가입자를 유지하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라고. 콘텐츠 제작 비용도 커졌고요. 외국에선 ‘애플TV+’·‘파라마운트+’를 묶어 보다 저렴한 구독 상품을 내놓는 걸 논의하고 있다고. 회사를 합치는 건 아니지만, 서비스를 결합해 고객을 끌어모으려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