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환율 #카카오톡 #지브리스타일
작성자 뉴닉
1분뉴스
#원달러환율 #카카오톡 #지브리스타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선고로 국내 증시가 출렁였어요. 📊
4일 원·달러 환율은 32.9원이나 떨어져 1430원 선으로 내려왔어요. 2년 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인데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미국 경기침체 걱정을 키운 데다, 우리나라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달러화 가치가 떨어진 거라고. 이날 코스피 지수는 주식을 팔아치운 외국인 투자자가 많아 0.86% 내렸고요. ‘윤석열 테마주’ 등 정치주가 크게 오르내리기도 했어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 카카오톡이 일시적인 지연 현상을 보였어요. 📶
약 8분 동안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거나 로그인이 되지 않았던 것. 카카오는 주요 서비스의 트래픽 가용량을 평소보다 3~10배 늘려놨지만, 탄핵 심판 결과에 대해 대화하며 몰린 이용자가 예상보다 많았던 거예요. 다행히 이 외에 큰 통신 오류나 사이트 마비 등은 발생하지 않았는데요. 구글·X(옛 트위터)에서는 ‘윤석열’, ‘탄핵 선고 시간’ 등 탄핵 선고 관련 검색량이 폭증하기도 했어요.
온라인 명품 유통 플랫폼인 ‘발란’의 회생절차가 시작돼요.
발란은 코로나 시기 성장하며 머스트잇·트렌비와 함께 대표적인 온라인 명품 유통 플랫폼으로 꼽혔는데요. 수백 억 원대의 정산 지연 사태를 겪은 끝에 지난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법원이 4일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내린 것. 발란은 6월 27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는데요. 법원이 이를 보고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발란은 파산하게 돼요.
의사단체들이 정부가 추진해온 의료 정책을 모두 원점으로 되돌리라고 했어요.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직후 환영의 뜻을 나타내며 입장문을 낸 건데요. 탄핵 인용을 계기로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정책패키지 등을 다시 논의하자고 한 것. 이를 계기로 의대생·전공의가 교육·의료현장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 했고요. 반면 환자단체 등은 필수·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개혁 작업이 계속돼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미얀마 지진으로 발생한 사망자가 3100명을 넘어섰어요.
지난달 규모 7.7의 강한 지진이 일어난 지 일주일째인데요. 통신망이 끊긴 곳과 미얀마 군사정권의 통제권 밖에 있는 지역 희생자를 포함하면 실제 사상자는 훨씬 많은 거로 추정돼요.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심각한 피해를 본 사람이 900만 명이 넘는다고. 오는 6~11일에는 수도 네피도 등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돼 추가 피해가 발생하거나 구조 작업에 어려움이 커질 거로 보여요.
오픈AI의 챗GPT를 이용한 ‘지브리 스타일’로 제작된 이미지가 7억 장을 넘어섰어요. 🤖
오픈AI가 지난주 선보인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기능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건데요. 덕분에 챗GPT의 주간 이용자 수는 지난해 말보다 약 1억 5000만 명 늘었고, 유료 구독자 수도 450만 명가량 증가했다고. 하지만 일본 만화 ‘원피스’의 애니메이션 감독이 “지브리의 이름을 더럽히다니 용서할 수 없다”고 비난하는 등 저작권 침해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요.
오늘의 1분뉴스는 어땠나요? 더 궁금한 점이 생겼다면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