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의 숨겨진 공식? 추리소설 황금기에 만들어진 '게임의 법칙'

미스터리의 숨겨진 공식? 추리소설 황금기에 만들어진 '게임의 법칙'

작성자 말로

미스터리 책장

미스터리의 숨겨진 공식? 추리소설 황금기에 만들어진 '게임의 법칙'

말로
말로
@user_usj73co68g
읽음 201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어제 《맥파이 살인사건》 이야기를 나누면서 추리소설 황금시대가 잠깐 언급되었죠. 그래서 오늘은 황금시대에 등장한 추리소설 법칙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께요.

"범인은 중요해요. 하지만 더 중요한 건 독자가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이죠."

1920년대 미국의 추리소설가 S.S. 반 다인의 말인데요. 그는 추리소설을 단순한 이야기가 아닌 '작가와 독자의 지적 게임'으로 정의했어요. 그런데 이 게임에도 룰이 있었다고 해요! 100년 전 작가들이 만든 미스터리의 법칙, 함께 살펴볼까요? 🎲

S. S. Van Dine

🕵️‍♂️ 추리소설의 황금기에는 무슨 일이?

1920-30년대는 '추리소설의 황금기'로 불려요. 애거서 크리스티부터 엘러리 퀸까지, 쟁쟁한 작가들이 수많은 작품을 쏟아냈죠. 근데 문제가 있었어요.

  • 탐정이 갑자기 증거를 내밀며 사건을 해결하거나

  • 마지막에 등장한 인물이 범인으로 밝혀지거나

  • 독자가 전혀 알 수 없는 정보로 사건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이건 좀 비겁한데?" 독자들의 불만이 쌓이기 시작했고, 작가들은 고민에 빠졌어요.

그래서 나온 게 '법칙'이에요

1928년, 반 다인이 먼저 '20가지 규칙'을 발표했어요. 이듬해에는 영국의 로널드 녹스가 '10계명'을 내놓았고요. 이 규칙들이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추리소설의 기본으로 여겨지고 있어요.

핵심 규칙 세 가지를 살펴볼게요 📚

1. "탐정과 독자는 평등하다"

• 탐정이 발견한 모든 단서는 독자에게도 공개되어야 해요

• 탐정의 '직감'이나 '우연한 발견'으로 사건을 해결하면 안 돼요

• 이건 마치 체스 게임에서 상대방의 말을 볼 수 없다면 게임이 성립되지 않는 것과 같아요

2. "트릭은 논리적이어야 한다"

• 초자연적인 방법(귀신, 마법 등)으로 사건을 해결하면 안 돼요

•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살인 방법은 쓸 수 없어요

• 독자가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기계장치도 금지!

3. "공정한 게임을 위한 약속"

• 범인은 이야기 초반에 등장한 인물이어야 해요

• 쌍둥이나 변장은 미리 암시가 있어야 해요

• 탐정이나 서술자는 절대 범인이 될 수 없어요

재미있는 건 뭔가요? 🤔

실제로 이 규칙들 덕분에 더 재미있는 작품들이 탄생했어요.

• 엘러리 퀸은 소설 중간에 "자, 이제 모든 단서를 공개했으니 독자 여러분이 범인을 찾아보세요!"라는 '도전장'을 넣었어요

• 애거서 크리스티는 이 규칙들을 지키면서도 놀라운 반전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했죠

• 일본의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런 전통을 계승하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가예요

현대에는 어떻게 되었나요? 🌟

시대가 바뀌면서 규칙도 진화했어요.

• 심리적 요소가 더욱 중요해졌어요

- 단순한 트릭보다 인물의 내면을 파고드는 작품이 늘었죠

- 《용의자 X의 헌신》처럼 범인이 누구인지 알면서도 긴장감 있게 읽히는 작품도 등장했어요

• 장르의 경계가 허물어졌어요

- 추리 + 로맨스, 추리 + 판타지 같은 크로스오버 작품이 많아졌어요

- 하지만 '공정한 게임'이라는 기본 정신은 여전히 지켜지고 있죠

여러분은 추리소설을 읽을 때 범인을 맞추려고 노력하시나요? 이제 이런 규칙들을 알았으니, 다음번엔 작가가 숨겨둔 단서들을 하나하나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네요! 🔍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께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