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는 여기에도 있다🚯[스페이스선데이🪐]

쓰레기는 여기에도 있다🚯[스페이스선데이🪐]

작성자 우주애호박

스페이스선데이🪐

쓰레기는 여기에도 있다🚯[스페이스선데이🪐]

우주애호박
우주애호박
@spacezucchini
읽음 416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쓰레기는 여기에도 있다🚯

지구 주변의 파편들(이미지: NASA)

여러분은 지구 주변을 도는 인공위성의 수명이 다하면 어떻게 되는지 아시나요? 행성 탐사선의 경우 주변 환경을 파괴하지 않도록 행성에 추락시켜 파괴해 버리기도 하지만, 지구 주변의 위성들은 그대로 우주 쓰레기가 됩니다. 유럽우주국의 9월 통계에 따르면, 지구 주변엔 ‘10cm 이상 크기의 물체 3만 7000개가 우주감시 네트워크의 추적’을 받고 있대요(그보다 작은 파편은 훨씬 많지만, 너무 작아서 추적되지 않아요). 2030년에는 인공 물체가 6만 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 스페이스 X의 스타링크 위성일 거예요. 2023년엔 3,500여 대를 발사했는데, 최종 목표는 4만 2000대의 스타링크를 보내는 거예요. 이뿐만 아니라 각국에서 발사한 로켓들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폭발할 때도 수많은 파편이 발생합니다. 이런 파편들은 지구로 떨어지거나 국제우주정거장처럼 우주 비행사가 탑승한 기체에 피해를 줄 수 있어요. 우주 쓰레기, 우주 개발의 필연적인 결과물인 걸까요?


오히려 좋아!? 비료 폭탄💥

이미지: pixabay

지구와 생명체에게 위협이 되는 소행성에게 이런 면이 있다니! 약 32억 년 전쯤에 지구에 S2라는 소행성이 떨어졌는데요, 이 소행성의 크기는 무려 에베레스트산 4개를 합친 것만 하대요. 하버드 대학교 지구행성과학과 연구팀은 S2 소행성이 떨어진 흔적이 있는 퇴적층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어요. 물론 소행성이 떨어지며 쓰나미가 발생하고 지구에 살던 미생물들이 피해를 보긴 했지만, 소행성이 증발하며 영양 성분이 방출됐고 박테리아의 개체수가 급증했다는 결과가 나왔대요. 소행성이 지구에 ‘비료 폭탄’ 역할을 했다는 거죠. 지구는 어쩌다 이렇게 생명체로 가득한 행성이 되었는지, 그 과정이 점점 더 궁금해지네요!


하나도 둘도 아닌, 셋?!

블랙홀 백조자리 V404와 그 주위를 도는 별들을 그린 상상도. 오른쪽 별이 이번에 발견된 또 다른 별이다. (Image credit: Jorge Lugo.)

보통 블랙홀은 단독이 아니라 블랙홀 주위를 도는 이나 중성자별, 또는 또 다른 블랙홀과 함께 발견돼요(블랙홀이 단독으로 존재한다면 보이지 않아서 발견하기 어려울 거예요). 이들은 중력에 묶여있어 서로를 회전하죠. 그런데 이번에는 블랙홀과 별 하나가 묶인 쌍성계 주위를 도는 또 다른 별이 발견됐어요. 그러니까 블랙홀과 별 두 개가 서로를 공전하는 거죠! 세 별이 서로를 도는 다중성계는 그리 특별한 게 아니지만, 블랙홀과 두 개의 별이 공전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래요. 문제의 블랙홀은 백조자리 V404인데요, 이번에 발견된 새로운 별은 블랙홀 주위를 7만 년에 한 번씩 돌고 있대요. 이 발견이 더욱 특별한 이유는, 초신성 폭발을 거치며 생성되는 블랙홀이 두 개의 별을 주변에 거느리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에요. 강력한 폭발 때문에 블랙홀이 멀리 떨어진 별을 잡아두기 어려웠을 테니까요. 이 블랙홀과 별을 연구한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와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팀은 블랙홀이 초신성 폭발 없이 스스로 붕괴해 블랙홀이 됐을 거 보고 있대요. 


구상성단 NGC 6752✨

Image Credit & Copyright: Massimo Di Fusco, Aygen Erkaslan

우주엔 수십만 개의 별이 공처럼 모여있는 천체가 있어요. 바로 구상성단입니다. 과학 시간에 배운 기억이 나시나요? NGC 6752, 또는 공작자리 대성단이이라 불리는 사진 속 이 성단은 지구와 13,000광년이나 떨어져 있어요(그래도 우리은하 안에 있어요!). 10만 개 정도의 별이 빼곡히 모여 별의 세계를 이루죠. 우리은하에는 이런 구상성단이 150여 개 존재합니다. 구상성단에 속한 별들은 나이가 아주 많아요. 100억 살 정도 되죠. 우주의 나이가 138억 살 정도니까, 구상성단은 우주의 성장을 지켜봤을 거예요. 참고로 8시 방향에서 보이는 파란색 별은 성단에 속한 별이 아니라 같은 방향에 있는 별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