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 이상 45만 6000명’, 무슨 얘기야?

‘금융자산 10억 이상 45만 6000명’, 무슨 얘기야?

작성자 헤드라이트

이 주의 헤드라이트

‘금융자산 10억 이상 45만 6000명’, 무슨 얘기야?

헤드라이트
헤드라이트
@headlight
읽음 8,790
뉴닉은 요즘 ‘뉴니커가 어떻게 하면 세상과 더 잘 연결될 수 있을까’ 고민 중인데요. 이에 많은 뉴니커가 관심 있어 하는 경제 이슈에 대한 실험 콘텐츠를 발행해요. 이름하여 ‘지통경: 지금 온통 얘기하는 경제 이슈’. 앞으로 매주 화요일, 그즈음에 기사로 가장 많이 발행된 경제 이슈를 골라 쉽게 핵심만 풀어줄게요. 지통경과 함께하며 스스로 경제를 해석하는 힘을 길러봐요. (🦔: 피드백 많이 보내주면 자주 찾아올 수 있슴!)

[지금 온통 얘기하는 경제 이슈 👀]

‘금융자산 10억 이상 45만 6000명’, 무슨 얘기야?

관련 뉴스 수: +53
(18일 네이버 뉴스란 기준)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3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인 부자 수가 45만 6000명으로 집계됐어요.

  • 이 뉴스 왜 이렇게 많이 나와? 🔎: 은행은 금융기관으로서 경제를 분석해 보고서를 내놓기도 하는데요. 대중이 관심 있을 내용들은 언론에서 소개해요. 이 보고서는 자산관리가 쉽지 않은 요즘 부자들이 돈을 어떻게 굴리는지 참고해 개인의 재테크 판단에 활용할 수 있을 거로 기대받았어요.

✍️ * ‘금융자산’이 뭐야?: ‘자산 = 재산’으로 보면 되는데요. 금융자산은 갖고 있는 주식·예금·채권 등을 가리켜요. 돈을 빌려 투자한 주식 등까지 자산으로 치는 거예요. 부동산·금 등은 실물자산(비금융자산)으로 구분돼요.

✅ 요약해요: ‘2023 한국 부자 보고서’, 주요 내용 살펴보면 

  • 부자는 찔끔 늘고: 지난해 말 기준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인 부자(45만 6000명)는 2021년 말(42만 4000명)보다 7.5% 늘었어요. 하지만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증가 폭은 0.07%p로 2019년 이후 가장 작았어요.

  • 금융자산은 줄었고: 부자들의 총 금융자산(2747조 원)은 1년 새 4.7%(136조 원) 줄었어요. 부자들의 금융자산 규모가 뒷걸음친 건 2019년 이후 4년 만이라고. 

  • 부동산자산도 주춤해: 부자들의 총 부동산자산은 2543조 원으로 1년 새 7.7% 늘었어요. 늘긴 늘었지만 2021년(18.6%), 2022년(14.7%)과 비교하면 그 폭이 확 꺾인 것. 

💡 풀어요: 고금리로 자산 가치가 떨어졌어요

금리(=이자율)가 올라 자산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와요. 대출 이자 부담 때문에 주식·채권 등 투자 열기가 식고, 집을 사려는 사람도 잘 없어 부동산 가격도 떨어진 것. 이러한 고금리 상황은 부자들의 자산 구성(=포트폴리오)에도 반영됐는데요. 부자들의 2023년 예적금 보유율은 94.3%로 지난해와 비교해 9.8%p 늘었어요. 반면 거주용이 아닌 주택 보유율은 1.0%p 떨어졌고요.

👀 관전 포인트: 내년 투자 PICK은?

부자들은 1년 이내 단기 투자처로 주식, 거주용 주택, 금·보석을 꼽았어요. 주식, 금·보석은 금리나 인플레이션, 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확실한 경제·국제 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투자처로 꼽았다고:

  • 1위 주식(47.8%): 기업 가치를 기준으로 개별 주식을 골라 신중히 투자하는 걸 선호했어요. 투자 기간으로는 1년~3년 미만을 가장 많이 골랐고요. 해외 주식(41.8%)보다 국내 주식(74.8%)에 투자하겠다는 생각이 많았어요.

  • 2위 거주용 주택(46.5%): ‘그래도 자산 불리는 데는 부동산이지!’ 하는 생각이 많아요. 자산을 불리는 최소 종잣돈은 8억 원으로 꼽았고, 평균 42세에 마련했다고.

  • 3위 금·보석(31.8%):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혀요. 어떤 상황에서든 가치를 쳐주기 때문. 부자들의 금·보석 선호도는 2022년(26.8%)과 비교해 5%p 올랐어요.

📊 지표까지 봐야 경제 읽기 완성

재테크 심화 과정 한번 밟아볼까요? 보고서에서 부자들은 자산을 불리기 위해 ‘빚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유식한 말로 ‘레버리지 투자**’라고 해요. 내 돈에 빌린 돈을 합쳐 투자 수익률을 키우는 것. 예를 들어 미국 나스닥100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좇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과, 레버리지 투자로 나스닥100 지수 수익률의 3배에 해당하는 투자 성과를 노리는 ETF 상품의 최근 1년 수익률을 비교하면요. 약 50%·150%로 3배 차이 나요. 대신 손해도 그만큼 크니, 이런 상품에 투자하려면 관련 교육을 받아야 해요.

✍️ ** ‘레버리지(leverage) 투자’가 뭐야?: 빚을 지렛대(lever) 삼아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거예요. 이자 같은 거 빼고 원리를 설명해보면요. 내 돈 100만 원을 갖고 10%의 수익이 나는 투자에 참여할 경우 10만 원의 수익을 얻잖아요. 그런데 400만 원을 빌려 총 500만 원으로 투자하면 50만 원의 수익을 얻는 것. 반대로 손해가 나면 그만큼 왕창 손해 본다는 위험이 있어요.

 

뉴닉 실험 콘텐츠, 어떻게 읽었나요?

피드백 보내주러 가기

방금 읽은 콘텐츠, 유익했나요?

헤드라이트
헤드라이트
@headlight
팔로워 5.9K팔로잉 6

뉴닉 공식 계정이에요. ‘경제잘알’되고 싶은 뉴니커 모두 환영이에요! 앞으로 경제 일타강사 ‘헤드라이트’와 함께, 🔦 헤드라인 경제 뉴스의 흐름 잡아봐요. 🔦 이슈의 맥락을 쉽게 파악해봐요. 🔦 어려운 경제 용어, 바로바로 알아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