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 눈, 왜 생길까?

자작나무 눈, 왜 생길까?

작성자 반달가슴곰

오싹한 식물도감

자작나무 눈, 왜 생길까?

반달가슴곰
반달가슴곰
@halfmoonbear
읽음 1,985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최근 던전밥이라는 만화를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이 만화가 제게 흥미로운 점은, 무엇보다 던전 안의 생물 다양성이에요.

ⓒ던전밥

만화 속 마물과 식물은 설화 속 상상의 동식물을 모티프로 하고 있는데요.
설화 속 동식물은 또 대개 실제 동식물을 모델로 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창작의 소스로 활용되기 좋은 식물들,
그러니까 판타지나 SF소재로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법한 식물과 그 속성을 살펴보려고 해요.

ⓒ디즈니

자작나무

첫 번째 식물은 자작나무입니다.
사실 나무의 옹이구멍은 대체로 스산한 느낌을 주죠.
자작나무의 옹이는 그 중에서도 단연 무섭습니다.
핀란드의 깊은 숲속에서 자작나무 사이에 갇히면, 꼼짝없이 감시당하는 기분이 들겠죠.

자작나무에 옹이구멍이 생기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 자작나무는 빨리 성장합니다. 성장이 빠른 종(River birch)의 경우, 1년에 60cm정도가 자라기도 합니다.

  • 성장 과정에서 가지가 자라고 떨어지는 일이 잦습니다. 가지가 떨어진 자리에 눈 모양의 흔적이 생기게 되죠.

  • 자작나무 껍질은 하얗습니다. 희고 창백한 껍질이 검정색 옹이와 대비되어 더 선명한 눈 모양을 띠게 됩니다.

  • 자작나무는 바람을 매개로 번식하는 수종으로, 비교적 수정이 쉽습니다. 자연 상태에서 자작나무 단일 수종으로 이루어진 숲을 볼 수 있는데요, 그로 인해 옹이 눈이 가득한, 무시무시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추가로, 자작나무는 유럽, 아시아 등지에 넓게 분포하며 추운 기후에서도 잘 자랍니다. 분포지의 특성을 떠올리면, 더 오싹해지는 느낌을 주죠. 이 밖에 자작나무의 숨은 특징은 또 뭐가 있을까요?

  • 휘바휘바~ 자작나무는 다당체인 자일란을 함유하고 있어요. 이것을 자일로스로 변환하고 가공 과정을 거치면 자일리톨이라는 달달한 감미료가 됩니다.

  • 자작나무의 껍질은 눈밭에서 화상을 입지 않기 위해 흰 색으로 발달했다고 합니다. 눈의 빛 반사율은 85~90%로 높은데, 이 위에서 자라는 자작나무가 어두운 색이라면 빛의 반사열을 너무 많이 받게 되죠. 나무 속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얀 껍질을 갖게 되었다는 겁니다.

  • 자작나무는 개척자 식물이라고도 합니다. 황무지나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 자작나무 껍질은 얇고 잘 벗겨집니다. 유분이 많아 잘 썩지 않기도 합니다.

    • 해인사 팔만대장경 일부에 부분적으로 자작나무 소재가 쓰였고, 역사책에서 본 '천마도' 그림도 껍질 위에 그려졌습니다. (가공이 쉽고 오래 썩지 않아서 종이, 목재로 많이 가공됩니다.)

    • 나무가 죽어서 몸통이 썩어도 껍질은 썩지 않는다고 하네요. 일본 홋카이도의 '아오이이케'라는 푸른 연못이 있는데요. 이곳에서 죽었지만 꼿꼿이 버티고 있는, 비현실적인 느낌을 주는 자작나무들을 볼 수 있어요.

홋카이도 여행에서 직접 촬영한 사진이에요.

식물의 속성을 알아가다 보니, 으스스한 생김새가 대견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더운 여름, 자작나무를 떠올리며 스산한 기운을 만끽해 보길 바랍니다.
또 다른 식물로 찾아뵙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블로그

  • 위키백과

  • gardeningknowhow 웹페이지

  • 한국자연환경보전협회

등등. 일부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