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라이팅'은 어디서 왔나
작성자 파란잠수함
옛날 이야기🖋️
'가스라이팅'은 어디서 왔나
스.포.주.의
"나 아님 누가 그런 세상 안아주겠어"
그 말이 그 땐 그리 달콤했던거야
'To.X' - 태연
믿고 듣는 태연의 'To.X'. 시작부터 조금 어둡지만 오늘의 주제를 소개하기 좋은 것 같아 가져와보았습니다.
달콤한 듯 겉을 치장하지만, 속에는 가시를 품고 있는 '가스라이팅'. 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방에게 '너는 틀렸어', '네가 잘못한 거 잖아'처럼 상대를 부정하는 언행으로 세뇌하고, 위에서 보았던 태연의 노래 가사처럼 '나 아니면 누가 너를 감당하겠어', '나를 사랑하는 데 그 정도는 해줘야 하는 거 아니야?'처럼 상대방을 심리적으로 교묘하게 지배하려고 합니다.
✨'가스라이팅'의 유래
...가스라이팅의 개념은 1944년 영화 “가스등”과 이 영화의 기반이 된 1938년 연극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 속에서 남편은 아내가 미쳐서 사물을 부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설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녀는 자신이 실제로 심리적 광기에 빠져들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시작합니다."
- CNN ; ‘Gaslighting’ is a commonly misused therapy buzzword. Here’s what it really means
연극과 영화에서 나온 말이라는 건 알겠는데, 왜 '가스등'이라는 사물이 제목으로 등장했을까요?
<가스등>에서는 남자 주인공 '그레고리'가 여주 '폴라'를 계속해서 가스라이팅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자신이 일을 거짓으로 꾸며놓고, 당신이 한 거라며 폴라에게 덮어씌웁니다. 게다가 주변인들을 끌어들여 입을 맞춘 뒤 폴라만 이상한 사람인 것 처럼 몰아가지요.
그 예시 중 하나로, 남자주인공은 집 안의 가스등을 일부러 몰래 껐다 켰다 하고 있었는데, 아내가 가스등이 이상하다고 말하자 '그건 당신의 상상이다'라고 말합니다.
"당신은 건망증이 있는 것 같아"
"당신 어머니는 정신병자였어."
"건망증을 넘어 의심병까지 생긴거야?"
"당신은 그저 피곤한거야. 그건 아무 의미 없어."
"아가씨, 그건 상상하신거에요."
사랑하는 남편, 그리고 온 집안 사람들이 합세해서 '내가 잘못했다'고 이야기하니, 결국 폴라는 자기가 미친 것이라고 인정하기에 이릅니다.
...빅토리아 시대(영화 당시) 후기의 기혼 여성은 기본적으로 결혼과 동시에 모든 권리를 남편에게 이양했습니다. 그들은 아이들로 간주되었습니다. 다루기 힘든 여성들이 정신 질환의 증거가 거의 없는 남편이나 다른 가족에 의해 정신병원에 투옥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 Sidney DeLeonardo, ICADV 역량 구축 지원 전문가, <가스에 불을 붙여 주시겠어요?: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의 간략한 역사와 그 뒤에 숨겨진 영화 >
여느 고전 명작들이 그러하듯, 영화 <가스등> 역시 당대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스라이팅'이라는 말이 존재하기 이전부터 상대를 조종하려는 나쁜 마음은 있어왔던 것이죠'
안타깝게도, 최근들어 이 용어가 더욱 자주 보이는 이유는 아직까지도 같은 일들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겠지요.
💙맺음말
두 배우 모두 연기를 너무 잘해서 화딱지가 나더군요...^_^ 세뇌로 망가져가는 폴라의 공허한 눈빛도 인상 깊었습니다. 나까지 가스라이팅 당하는 기분... 숨죽이고 봤던 것 같습니다.
스토리도 생각보다 긴장감 넘쳐서 끝까지 잘 봤던 것 같습니다. 아카데미상 후보에 왜 들었는지 납득이 가더라고요. 장르가 스릴러긴 하지만 21세기인이 보기에는 그렇게 무섭지는 않았습니다.
[ 자료 출처 ]
Medical News Today, 'What is gaslighting? Examples and how to respond'
CNN ; ‘Gaslighting’ is a commonly misused therapy buzzword. Here’s what it really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