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금값🪙 폐휴대폰에서 금캐기? 📱
작성자 호도독
GREEN for ME
치솟는 금값🪙 폐휴대폰에서 금캐기? 📱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죠? 올해 국제 금값이 30% 넘게 올랐는데도 더 오를 거라고 전망한다고 해요.(😂😂금을 미리 사뒀어야 했는데...껄무새가 절로 되는 요즘입니다.)
스마트폰 한 대에는 약 0.034그램의 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은 양처럼 보이지만, 매년 수억 대의 스마트폰이 사용되며 버려지기 때문에 다 합치게 되면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고 해요.
왜 금을 사용할까요? 🧐
전기 신호의 안정적 전달: 금은 전기 전도성이 매우 우수해, 회로 내에서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부식에 강한 내구성: 은이나 구리와 달리 금은 시간이 지나도 부식되지 않아 장기적인 성능을 보장합니다.
유연성과 가공성: 금은 얇고 미세한 도금으로 가공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 제작에 적합합니다.
전자폐기물 재활용의 중요성 ♻️
자연 상태의 금광석 1톤을 캐면 4~5g의 금이 나오는데, 폐스마트폰 1톤을 모으면 3~400g의 금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해요. 진짜 ‘광산’보다 훨씬 효율적인 셈이죠.
또한 금을 재활용하는 데는 전통적인 채굴보다 85% 적은 에너지가 사용되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어요.
선도적인 재활용 기업들 🌍
Apple
Apple은 Daisy라는 로봇을 통해 오래된 iPhone과 전자기기에서 금과 같은 귀금속을 회수합니다. iPhone 부품 1톤에서 2,000톤의 암석에 해당하는 금과 구리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ple은 자사 제품에 재활용 금을 사용하며, 순환 경제를 강화하고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Umicore
Umicore는 벨기에에 본사를 둔 금속 재활용 기업으로, 저탄소 폐쇄 루프 모델을 통해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금을 포함한 여러 금속을 회수합니다. Umicore의 기술은 복잡한 금속 회수 과정을 최적화하며, 환경과 경제 모두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3. CJ대한통운의 O-NE 도시광산 프로젝트
CJ대한통운은 삼성전자 및 경기도와 협력해 2023년부터 O-NE 기반 폐휴대폰 도시광산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소비자는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 웹사이트에서 폐휴대폰 재활용 신청을 할 수 있고, CJ대한통운은 안전파우치를 각 가정으로 배송합니다. 이 파우치에 휴대폰을 넣어 회수 신청하면, e순환거버넌스 센터로 운반되어 파쇄 및 재활용 처리됩니다
🛠️ 집에 잠든 휴대폰, 이제는 재활용하세요!
2023년 경기도 조사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는 휴대폰을 집에 보관 중이라는 응답이 60%에 달했습니다. 다수의 가정이 한 대 이상을 보관하고 있다고 해요.

출처: 경기도
O-NE 기반 폐휴대폰 도시광산 프로젝트는 재활용 참여자에게 기부 영수증과 탄소중립 포인트를 제공하며, 택배 기사들을 대상으로 블루백 챌린지를 진행해 자원순환 문화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원 순환 모델은 페트병, 종이팩 수거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활동의 일부입니다.
폐휴대폰 수거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하실 수 있어요!
https://www.recycle-at-home.com/Event_zflip6

출처: CJ NEW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