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은행의 '한강 프로젝트'... 디지털 원화가 나온다?

한국 은행의 '한강 프로젝트'... 디지털 원화가 나온다?

작성자 크립토터미널

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

한국 은행의 '한강 프로젝트'... 디지털 원화가 나온다?

크립토터미널
크립토터미널
@crypto
읽음 524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한국은행이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실험을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이름하여 ‘한강 프로젝트’인데요.

한강 프로젝트는 오는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며, 최대 10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테스트가 될 전망입니다. 참여 은행도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7곳이나 된다고 하는데요.

디지털 원화? 그게 뭐야?

디지털 원화는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예요. 쉽게 말해, 실물 지폐 없이 전자상에만 존재하는 디지털 화폐인데요.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카드 결제나 모바일 송금과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결정적인 차이가 있어요.

예를 들어, 일상 생활에서 매일 쓰는 카드 결제는 은행 계좌에 있는 '원화'를 기반으로 하죠? 그러나 디지털 원화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원화'를 사용해요.

즉, 기존 결제 시스템은 은행과 카드사가 중개 역할을 하지만, 디지털 원화는 은행을 거치지 않고도 디지털 장부를 통해 결제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방식이에요.

왜 하는 거야?

요즘 사람들은 현금을 점점 덜 쓰고 있잖아요. 카드나 모바일 결제가 일상화되면서, 금융 시스템도 이에 맞춰 현대화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에요.

게다가 테더(USDT) 같은 스테이블코인이 국제 시장에서 확산되면서,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디지털 화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요.

또한, 디지털 화폐를 사용하면 기존 결제 시스템보다 거래 비용을 절감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이유 중 하나고요.

마지막으로, 별도의 은행 계좌 없이도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금융 포용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어요.

어떻게 실험할까?

한국은행은 오는 4월~6월 동안 ‘한강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대규모 CBDC 테스트를 진행해요. 최대 10만 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7곳도 함께하는데요.

  • 실험 참가자는 은행 예금을 ‘토큰화된 예금’으로 전환할 수 있어요.

  • 이 돈은 QR 결제 방식으로 다양한 상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개인당 기본 100만 원, 최대 500만 원까지 충전 가능!

  • 필요하면 다시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어요.

즉, 우리가 기존 은행 계좌의 '원화' 대신, '디지털 원화'를 직접 발급, 결제, 정산해보는 실험인 셈이에요.

성공하면 어떻게 될까?

한강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디지털 원화가 실생활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커져요. 은행 간 정산 과정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바뀌고, 금융 시스템 전반의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도 기대할 수 있죠.

해외 송금 방식도 달라질 수 있어요. 지금은 국제 송금이 느리고 수수료도 비싸지만, 디지털 원화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면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가 가능해질 가능성이 높아요.

결국, 이번 실험이 성공하면 금융 환경이 한층 더 디지털화되고, 더 편리하고 안전한 결제·송금 시스템이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요!

한국만 하는 거야?

아니요! 한국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국제금융협회(IIF)가 추진하는 ‘아고라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어요. 미국, 영국, 일본 등 7개국 중앙은행과 함께 국가 간 디지털 화폐 결제 효율성을 높이는 실험도 진행 중이에요.

마치며

한국은행의 디지털 원화, 정말 우리의 일상 속에 자리 잡게 될까요? 아직은 실험 단계이지만, 이번 ‘한강 프로젝트’ 결과에 따라 미래 금융 시스템의 판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요.

디지털 화폐가 가져올 변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크립토터미널의 모든 콘텐츠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를 위한 어떠한 조언 또는 권유가 아니며, 투자 전 반드시 직접 리서치를 수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