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긴급재난문자 혼란

5월 31일 북한이 쏜 발사체도 혼란을 줬지만 서울시 재난문자로 인한 혼란이 더 컸는데요 📱. 진짜로 위기 상황이 생겼을 때 제대로 대비할 수 있는 거 맞냐는 걱정이 나와요. 뭐가 문제였는지 알아봤어요.

재난문자가 정확히 뭐였지?

위기·재난 발생 시 이를 신속히 알리기 위해 휴대폰으로 보내는 문자메시지예요. 행정안전부(행안부), 담당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등이 보내고요. 얼마나 심각한 재난인지에 따라 위급재난문자(전쟁이나 큰 지진 등), 긴급재난문자(지진·태풍·홍수, 화재·테러 등), 안전안내문자(그 밖의 재난경보와 주의보)로 나뉘어요. 위급재난문자와 긴급재난문자는 문자 알림음이랑 다른 경보음이 나요. 위급재난문자는 휴대폰 설정을 바꿔도 수신을 거부할 수 없고요.

이번엔 뭐가 문제였던 거야?

  • 문자 잘못 보냈나 🚨: 문자를 잘못 보낸 게 서울시 잘못인지를 두고 논란이 있었어요. 행안부가 백령도에 경계경보를 내리면서 ‘경보 못 받은 지역은 자체적으로 경계경보 발령’이라고 했는데요. 행안부는 ‘백령도 내에서 못 받은 지역’이라는 뜻이었는데, 서울시는 ‘전체 시·도 중에서 못 받은 지역’으로 잘못 이해해 문자를 보낸 거예요. 표현이 애매해 오해하기 쉬웠다는 말도 있는데요. 서울시는 상황에 맞게 대응했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에요.

  • 내용도 부족했어 📝: 문자 내용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왔어요. 대피하라고는 하는데 왜 대피하라는 건지, 어디로 어떻게 대피하라는 건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기 때문. 반면 같은 날 일본 정부의 대피명령 문자에는 북한 미사일 발사 때문에 경보가 발령됐으니 건물 안이나 지하로 대피하라는 설명이 담겼다고.

이대로 괜찮을까?

보완이 필요해 보여요:

  • 내용 충분히 담아: 이번 일을 계기로 정부가 재난문자 발송 시스템을 들여다보기로 했어요. 육하원칙에 따라 자세히 적도록 할 것 같다고. 글자수를 늘려야 한다는 말도 나와요. 지금은 90자까지만 쓸 수 있어서, 자세한 내용을 담기에는 부족하다는 얘기가 있거든요.

  • 꼭 필요한 것만 보내: 지난달 정부는 “꼭 필요할 때만 신속하게 보내겠다”며 재난문자 발송 기준을 살펴보기로 했어요. 코로나19 때 ‘손 씻으라’는 얘기까지 재난문자로 받다 보니 피로감을 느껴 재난문자를 꺼둔 사람이 많았기 때문. 

+ 대피는 어디로 해야 되는데?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 또는 ‘안전디딤돌(아이폰·안드로이드)’ 앱에서 전국 1만 7000여 개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어요. 평소 집이나 자주 가는 곳에서 가까운 대피소가 어디인지 미리 알아두는 게 좋아요. 대피할 땐 집의 가스·전기를 차단하고, 물과 간식을 챙겨요. 만약 대피소를 못 찾겠다면 일단 지하철역이나 지하주차장 같은 곳으로 피하는 게 안전해요.

#사회#북한#재해재난

구독할 경우 개인정보 수집·이용광고성 정보 수신에 동의하게 됩니다.

더 편하게 보고싶다면? 뉴닉 앱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