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날 특집]더 많은 여성 롤모델이 필요한 이유
작성자 우따따
[여성의 날 특집]더 많은 여성 롤모델이 필요한 이유

남자가 여자보다 더 똑똑하다고?🤦♀️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만 7세부터 남성을 여성보다 더 똑똑하다고 여기는, 지적 능력에 대한 성고정관념이 발달한다는 연구가 작년에 발표됐어요.¹ 비슷한 연구가 서구권에서 진행된 적은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연구된 것이었죠.
연구진은 만 7세 어린이들에게 두 가지 과제를 주었어요. 첫 번째는 어린이들에게 똑똑한 사람과 착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사진 속에서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생각되는 사람을 고르게 했어요. 두 번째 과제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누가 정말 정말 똑똑한 사람일까?"라고 물었죠. 그 결과, 많은 어린이들이 남성을 '똑똑한 사람'으로 선택했다고 해요.
또 연구자들은 높은 지적 능력을 필요로 하는 과제를 수행하려는 동기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추가로 확인했어요. 어린이들에게 ‘똑똑한 게임’과 ‘노력하는 게임’에 대해 설명하고 어떤 게임을 더 하고 싶은지 물어본 거예요.
“이 게임은 오직 정말 정말 똑똑한 아이만이 잘할 수 있어.”
“이 게임은 오직 정말 정말 열심히 하는 아이만이 잘할 수 있어.”
연구 결과, 여자아이는 남자아이보다 똑똑함을 요구하는 게임에 대한 흥미와 참여 동기가 낮았다고 합니다.²
Seeing is Believing!
어린이가 이런 고정관념 없이 자라기 위해서는 여성 롤모델을 보는 것이 중요해요. 이걸 알려주는 다른 연구도 하나 더 소개할게요.
미국과 캐나다에서 무려 50년 동안 이어 온 연구로, 어린이에게 “과학자를 그려 주세요.”라는 요청을 했을 때 무엇을 그리는지에 관한 연구예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과학자를 여성으로 묘사한 어린이는 1%도 되지 않았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비율은 크게 증가해서 2016년에는 약 34%에 도달했어요. 여자 어린이가 그린 그림에서는 그 변화가 더욱 극명했는데요. 최근 10년 동안에는 여자 어린이의 절반 이상이 여성 과학자를 그렸다고 해요.³
어린이들이 더 많은 여성 과학자를 그린 것은, 여성이 과학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아진 추세와 일치해요. 여성 과학자를 보며 자란 소녀들이 자라서 과학자가 되고, 그 모습이 다시 더 많은 소녀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죠. “여자도 할 수 있어.”라는 말보다 여성 롤모델을 보여주는 것이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
‘최초가 될 용기’를 주는 여성 롤모델 이야기
하지만 한국의 현실은 어떤가요?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래에는 여성 위인이 단 한 명뿐이고, 인기 있는 만화 위인전에도 남성 위인은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계속 소개되는 반면 한국 여성 위인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따따가 직접 ‘최초의 여성’ 시리즈를 만들었어요! 여성 인권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에서는 지금도 ‘최초‘에 도전하는 여성들이 많고, 아직 ‘최초의 여성‘이라는 유리천장이 깨지지 않은 영역도 많아요. 그래서 ‘최초의 여성’ 시리즈는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마음속에 새겨 적는 최초의 한 걸음]
한글 필사 노트: 근대 여성 위인 편
우따따가 선정한 인물은 모두 7명이에요.우리나라 근대 역사 속 최초의 업적을 세운 여성 위인들이죠. 비행사, 영화감독, 택시 기사, 수학자까지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을 선정해서, 어린이가 다양한 직업에 대해서 알고 꿈꿀 수 있도록 했어요!
아이들과 색칠하고 필사하면서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자연스럽게 여성 롤모델도 배우고, 어린이의 꿈에 대해서도 대화나눌 수 있어요. 마지막 페이지에는 아이들이 직접 자기 꿈을 그리고 명언을 만들어보는 페이지도 있답니다.
어른도 어린이도 특별하게 여성의 날을 기념할 수 있는 필사노트를 자세히 보고 싶으시다면
우따따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
▼ 출처
“Gender brilliance stereotype emerges early and predicts children’s motivation in South Korea”, Child Development, 2024.
“[발달 뉴스 95편] 똑똑함에 대한 성 고정관념, 아이들도 갖고 있을까요?”, 성신아동발달연구실 네이버 블로그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Gender-Science Stereotypes: A Meta-Analysisof 5 Decades of U.S. Draw-A-Scientist Studies”, Child Development,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