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에 이어서 평가에 대해서 조금 더 이야기해볼게요. 지금까지 여러 조직을 거치면서 약 40여명의 팀원과 일을 했는데 대체로 자기 평가에 관대한 모습을 볼 수 있었어요. 평가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을 10명 중 7~8명은 스스로에게 부여했던 것 같아요. 자기 평가가 객관적이어야 하는 이유와 자기 평가를 기술하는 것에 대해 작성한 내용처럼 이런 평가는 평가하는 리더에게 인정 받기 어려워요. 그 이유는 상위 등급은 상대적으로 소수에게만 부여 되는 것이 조직의 평가 체계 하에서 모든 분들의 평가를 그대로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에디
일 년 전•
회사에서 말하는 상위 등급은 단순히 상대적인 등급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절대적으로 괜찮거나 우수한 사람에게 부여하도록 보통 가이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의 동료보다 조금 잘 했다고 또 그 등급을 받기는 어려운 것도 이유이고요.
등급과 작성된 업무 성과의 내용이 괴리감이 큰 것도 리더를 설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요. 개인적으로 가장 큰 부분은 일을 완료하는 것은 기본이라는 점이에요.
기획자가 기획을 하고, 개발자가 개발을 하고, 마케터가 마케팅을 수행한 것은 그 역할을 수행한 것이지 우수한 결과를 낸 것이 아니에요.
🤔1
0
답글 0

에디 님에게 도움과 영감을 주는 답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