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야, 혜성☄️“ [스페이스선데이🪐]

“나야, 혜성☄️“ [스페이스선데이🪐]

작성자 우주애호박

스페이스선데이🪐

“나야, 혜성☄️“ [스페이스선데이🪐]

우주애호박
우주애호박
@spacezucchini
읽음 390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나야, 혜성☄️“

2024년 9월 30일 하와이 제미니천문대에서 촬영한 쯔진산-아틀라스 혜성 모습(촬영: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번 주엔 해가 지고 난 뒤 서쪽 하늘을 살펴보세요! 태양계 끝에서 날아온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을 만나게 될지도 모르니까요. 이 혜성은 올해 지구 근처를 지나갈 혜성 중 가장 밝은 혜성인데요, 밝기가 2등급 정도까지 올라가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거로 예측하고 있어요. 다가오는 토요일까지 혜성은 점차 지평선에서 위로 올라와서 보기에 편해지지만, 밝기는 점점 어두워지기 때문에(지구와 멀어지고 있어요!) 우주애호박은 일요일~화요일 일몰 시각을 노리는 걸 추천해요! 서쪽 지평선이 잘 보이는, 살짝 높은 곳에 올라가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을 찾아보세요. 이 시기가 지나면 이 혜성은 앞으로 8만 년 동안 만날 수 없으니까요!

10월 13일 일출/일몰 시각(네이버 검색 결과 갈무리)

아름답고도 기묘한😮

Image Credit & Copyright: Jonathan Eggleston

지난주 스페이스선데이에서 태양이 폭발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전했는데요, 그 폭발의 여파가 이번 주 지구에 도달했습니다. 10월 10일 밤, 미국 북부에서 중부에 이르기까지 오로라 현상이 관찰된 것이죠. 독일에서도 오로라가 일어났다는 소식이 SNS에 올라오기도 했어요. 극지방 근처에 가지 않아도 오로라를 볼 수 있다는 건 신기한 일이지만, 태양 폭발 후 지구로 도달하는 태양 물질들로 인해 위성 통신 장애나 GPS 서비스 장애, 정전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항상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해요. 2025년은 태양 활동이 가장 활발한 해이기 때문에, 오로라 소식은 앞으로도 종종 들려올 거예요. 


우주에서 땅 파먹고 살 수도 있다고?

소행성 프시케의 상상도(이미지: NASA)

화성에 가게 된다면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가 있지만, 그중 하나는 화성에 가는 6개월의 시간 동안 식량을 어떻게 공급해야 하냐는 문제일 겁니다. NASA와 캐나다 우주국은 ‘딥 스페이스 푸드 챌린지(Deep Space Food Challange)’라는 이름의 공모전을 열어 우주에서의 식량 조달 방식을 해결해 보려고 했어요. 우주선 안에서 버섯을 재배하거나 식물 생장 주기를 빠르게 만드는 방식 등이 제안됐죠. 하지만 어쩌면 답은 우주선 밖에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소행성을 구성하는 탄소 유기물을 분해해 충분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등장했거든요! 소행성에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섞어봤더니, 박테리아가 탄단지가 잘 섞여 있는 분해물을 만들어낸 겁니다. 질감도 밀크쉐이크와 비슷했다니, 이거 완전 우주용 식사 대용쉐이크 아닌가요? 이 소식을 들으니 우주애호박은 영화 <설국열차>가 떠오르기도 하는데요, 여러분들이 우주를 여행하신다면 이 소행성 음료를 드실 건가요? 물론 우주에서 장기 체류를 해야 한다면 선택지 같은 건 없을 테지만요. 😜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발사 중인 누리호(이미지: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간만에 우리나라 소식을 전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내년에 4차 발사를 앞두고 있어요. 계획대로 잘 진행된다면, 올 11월부터 4호기 모델 조립이 시작되고 내년 하반기에 누리호가 발사될 거예요. 이전 누리호와는 달리 4호부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민간 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합작해서 발사하는 거라 의미가 있답니다. 참고로 누리호뿐만 아니라 항우연은 달 착륙을 목표로 한 새로운 발사체도 개발하고 있답니다. 우리의 응원이 필요한 시기겠죠?


태양을 지나는 다섯 개의 혜성✨

Image Compilation Credit: Tunc Tezel (TWAN)

우주에서는 혜성이 어떤 모습으로 보일까요? 태양을 지나는 다섯 개의 혜성의 이미지를 모아봤습니다. 이 사진을 찍은 건 SOHO(소호)라는 태양 관측 위성인데요, 사진 가운데에 있는 건 태양을 가린 판이에요. 태양을 가리면 태양 주변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더 잘 볼 수 있거든요. 참고로 소호 위성은 혜성을 1천 개 이상 발견했다고 하네요! 왼쪽 위부터 맥노트, 러브조이, 아이손, 네오와이즈, 그리고 이번에 지구를 찾아온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입니다. 태양과 반대 방향으로 긴 꼬리가 펼쳐지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