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작성자 그느드
글로벌 경제 데일리
오늘까지 글로벌 경제 이슈 한 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그느드입니다. 제가 정기적으로 쓰는 글만 읽어도 세계 경제 이슈가 전부 파악될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평일 오전에 글을 쓰고 그 내용은 전날 + 당일 새벽 사이의 이슈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의 출처는 해외 주요 언론 기사입니다. 정말 가끔 사견도 넣지만, 사견이라고 크게 표시합니다.
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 1. 글로벌 경제
● 미국 경제
CPI 둔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보다 낮게 나오며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가 커짐. 슈퍼코어(서비스-렌트 제외)는 0.209%로 올해 최저.
연준(Fed) 기대: CPI 둔화 발표 후 금리 인하 기대가 재점화됨.
소비자 수요 및 관세 영향: 일부 신차 모델 가격 상승은 관세의 직접적 영향으로 해석됨. 내구재 일부(가전·가구)는 가격 상승, 식료품·의류는 영향 미미.
기업 실적 호조: S&P500 기업 중 77%가 1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이익 성장률 13.1% (vs 예상 6.6%).
채권 시장: 국채 금리는 CPI 발표 전 상승했다가 이후 하락 전환.
● 유럽 경제
미국 베센트 재무장관: “EU와의 무역 협상은 집단행동 구조로 인해 진전 느림”이라 평가.
● 중국 경제
무역 휴전: 미국과 상호 관세 유예 합의(4월 2일 시작, 90일 간). 중국은 이를 외교적 성과로 내세움.
휘토류 수출 완화 가능성: 중국 기업들, 대미 수출 재개 요청 진행 중.
보잉 항공기 인도 재개: 중국이 미국산 항공기 수입 재개 결정.
관세 효과: 식품/의류는 영향 미미, 가전/가구는 일부 상승.
● 아시아 경제 (중국 제외)
사우디 협력: 중동 국가들과 미국의 반도체·에너지 협력이 지경학적 영향 확대.
✅ 2. 미증시 주요 기업
1. AI 및 반도체
NVIDIA: 사우디와 대규모 반도체 계약. 중동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수혜.
AMD: NVIDIA와 함께 사우디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공급.
퀄컴: 삼성 갤럭시 칩셋 이슈 언급, 별도 뉴스 없음.
마이크론: 주가 2.5% 상승. 사우디 반도체 공급 기대감 반영.
3. 소비재 및 기술 기업
알파벳 (Google): 유럽 소송 관련 불확실성과 AI 컨퍼런스 기대감 혼재.
애플: iOS19에 AI 배터리 기능 및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보도.
4. 금융 및 에너지
JP모건: 퍼스트솔라 투자 의견 상향.
뱅크오브아메리카: 무역 휴전 이후 리스크온 가능성 언급.
5. 기타 기업 (요약)
코인베이스: S&P500 편입으로 24% 급등.
유나이티드헬스: CEO 사임 및 실적 철회로 17.8% 급락.
퍼스트솔라: 세제안 수혜 기대.
팔런티어: 내부자 매수 및 중동 연설.
사운드하운드: 레스토랑 쇼 참가, 음성 AI 솔루션 발표.
트레이드데스크: 컨퍼런스 참가, 내부자 매도.
헬로자임, 인투이티브, 플러그파워, 온홀딩스, 벡트, 로빈후드, 슈마컴, GRYP 등: 실적·인수·투자 의견 이슈 다수 포함.
✅ 3. 증시와 투자자 관점
● 미국 증시 지수
S&P500: 0.7% 상승 (5/13 기준), 전일 3.26% 급등. CPI와 무역휴전 호재.
나스닥100·다우존스: 지수 모두 상승 마감.
● 리밸런싱
코인베이스: S&P500 편입.
● ETF 및 펀드
클린에너지 ETF: 친환경 세제개편 기대감에 미국 태양광 기업 주가 급등.
템퍼스 AI ETF: 레버리지 2배 ETF 신규 출시.
● 금리 및 채권
미국 10년물 금리: 4.48% (+1bp). CPI 발표 후 하락 전환.
시티은행 매도세도 금리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됨.
✅ 4. 정치적 이슈
● 트럼프 관련
CPI 둔화 발표 직후 파월에게 공개적으로 금리 인하 요구.
중동 순방 중 사우디와 1조 달러 투자 유치 발표.
반도체 수출 규제 완화 추진. 아랍에미리트에 NVIDIA 칩 수출 허용 검토.
● 미중 무역
4월 2일부로 90일 관세 유예 합의.
중국 측 해석: 외교적 승리로 평가.
보잉 인도 금지 해제, 휘토류 수출 검토 등 무역 유화 분위기.
● 대외 외교
미국 재무장관, EU 협상 진전 느림 지적.
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평가.
✅ 5. 기타 카테고리
● 주요 경제 일정
5월 14일: PPI 발표 예정 (21:30 한국시간).
5월 15일~17일: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FOMC 위원 연설 예정.
6월 19일 새벽: FOMC 기준금리 발표.
엔비디아 실적 발표: 5월 28일 밤 (한국 시간 29일 새벽).
알리바바 실적 발표: 5월 16일 장전.
파월 연설: 5월 16일 저녁 9:40 예정.
오클로, 뉴스케일, 헬로자임 등 실적 발표 일정 다수 확인됨.
● 투자자 심리 및 거래량
S&P500 기준 거래량: 평소 대비 약 40% 증가, 위험선호 심리 강화 조짐.
옵션 수급, 내부자 거래, AI 붐 등 단기 테마 반응 강함.
● 개별 산업 뉴스
바이오·양자컴퓨팅: FDA 승인, 퀀텀테크 전시회, AI 헬스케어 테마 언급됨.
웹툰, 그레일 등 중소형 성장주 실적 발표 확대 중.
블록체인/이더리움/리플: 전반적 상승세, 단 명확한 뉴스 트리거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