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AI 수석 임명한 이재명 정부, 우리나라도 ‘세계 3대 AI 강국’ 될 수 있을까?

사상 첫 AI 수석 임명한 이재명 정부, 우리나라도 ‘세계 3대 AI 강국’ 될 수 있을까?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사상 첫 AI 수석 임명한 이재명 정부, 우리나라도 ‘세계 3대 AI 강국’ 될 수 있을까?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15,704

대통령실 ‘AI 수석’ 신설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하정우 네이버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을 초대 ‘인공지능(AI) 미래기획수석’에 임명했어요.
  • ‘AI 미래기획수석’은 이재명 정부 들어 새롭게 만들어진 자리인데요. 하 수석은 네이버의 LLM(거대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개발한 주역으로, 실무와 정책에 대한 관점을 두루 갖춘 인물로 평가돼요.
  • 하 수석은 앞으로 5년간 100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세우는 등, 국가 AI 전략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될 예정이에요.

AI 미래기획수석 신설의 의미는?

요즘 세계 AI 시장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데요. 미국과 중국에서 데이터에 기반해 주도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AI인 ‘AI 에이전트’가 정부 투자를 받아 쭉쭉 성장하고 있는 한편, 우리나라는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말이 많았어요. 기술 자립과 투자, 인재 확보 등에서 부족함이 많다는 평가도 지배적이었고요.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때부터 “우리나라 AI 3대 강국으로 만들게!” 강조해왔는데요. 대통령으로 당선된 직후 바로 AI 관련 전담 고위직을 만들고, 하 수석을 임명한 거예요. 

하 수석은 “우리나라만의 디지털 자립성이 필요해!” 하며 ‘소버린 AI(주권형 AI)’의 필요성을 주장해왔어요. 소버린 AI는 국가별 데이터·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독립적인 AI를 말하는데요. 챗GPT나 클로드처럼 영어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AI와 달리, 우리나라의 언어·가치관을 담은 AI를 국가가 나서서 개발해야 한다는 거예요. 그래야 우리나라의 AI가 디지털 자립성을 얻을 수 있고, 본격적인 해외 수출도 할 수 있게 될 거라는 것.

‘국산 AI’ 100조 투자, AI 생태계 바꿀 수 있을까?

이재명 정부는 100조 원의 투자를 받아 AI 관련 분야를 팍팍 성장시키겠다고 선언했어요. 국민·기업·정부·연기금 등이 참여할 수 있는 국민펀드를 조성해 돈을 마련하고, 이를 AI 데이터센터 건설·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개 이상 확보, AI 반도체 기술 투자 등에 사용하겠다는 것. 국내 대표 LLM을 개발하고 오픈소스를 공개해 다양한 국내 기업들이 부담 없이 고성능 AI를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도 했는데요. 그동안 민간을 중심으로 진행됐던 AI 개발의 흐름이 정부 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지관심이 모여요.

🔗 더 알아보기

by. 에디터 진 🐋
*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아티클입니다.

이 아티클 얼마나 유익했나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