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민주항쟁 38주년에 정반대 해석: “내란 종식” vs. “민주당 폭주”

6.10 민주항쟁 38주년에 정반대 해석: “내란 종식” vs. “민주당 폭주”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6.10 민주항쟁 38주년에 정반대 해석: “내란 종식” vs. “민주당 폭주”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5,127

38년 전 그날의 외침과 오늘의 다짐

  • 6.10 민주항쟁 38주년을 맞아 열린 기념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계엄과 독재를 끝내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새롭게 써온 힘으로, 다시 국민이 주인인 진정한 민주공화국을 향해 가자”고 강조했어요. 
  •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도 함께 열렸는데, 새로 개관한 민주화운동기념관은 과거 고문과 인권 탄압의 상징적 공간이었던 서울 용산구 남영동 대공분실이 재탄생한 공간이에요.
  • 이 대통령은 민주화운동기념관에 대해 “단순한 기념 시설이 아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살아있는 역사”라고 설명했어요.

6.10 민주항쟁이란?

6.10 민주항쟁은 1987년 6월,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의 호헌(현행 헌법 유지) 선언에 반대하며 전국에서 촉발된 민주화 운동이에요. 그해 6월 10일부터 약 20일간 수백만 명의 시민이 거리로 나서 직선제 개헌과 독재 종식을 외쳤는데요. 그 결과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헌법 개정이 이뤄지며 한국 민주주의의 중대한 전환점이 됐어요. 박종철·이한열 열사의 희생도 항쟁의 상징으로 남아 있고요. 이후 6.10 민주항쟁은 민주주의 수호와 시민 참여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는데요. 지난 2017년에 개봉한 영화 ‘1987’의 역사적 배경이기도 해요.

6.10 민주항쟁 정신 두고 갈라진 거대 양당의 입장

6·10 민주항쟁을 기리는 자리에서 여야는 같은 정신을 강조하면서도 서로 다른 정치적 해석을 덧붙였어요:

  • 더불어민주당은 “6.10 민주항쟁 정신을 계승해 내란을 완전히 종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어요. “38년 전 군사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되찾았던 것처럼, 우리 국민은 지난 12월 3일의 불법 계엄에도 분연히 떨쳐 일어섰다”며 12.3 비상계엄 사태항쟁 정신과 연결지었고요. 이재명 정부와 함께 국민이 주인인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한 것.
  • 반면 국민의힘은 6.10 민주항쟁 정신에 따라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굳건히 지키겠다면서도, “최근 민주당 정권의 입법 독주와 사법 체계 무력화 시도는 민주주의 훼손”이라 주장했어요.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고요.

🔗 더 알아보기

by. 에디터 오월 🍕

이미지 출처: ©더불어민주당,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민의힘
*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아티클입니다.

이 아티클 얼마나 유익했나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