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친위대’ 비판 쏟아졌던 대통령경호처, 결국 조직 개편 시작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윤석열 친위대’ 비판 쏟아졌던 대통령경호처, 결국 조직 개편 시작

뉴닉
@newneek•읽음 6,016
대통령실, 대통령경호처 간부 5명 전원 대기발령
- 대통령실이 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 대통령경호처 간부 5명을 상대로 전원 대기발령(=직무를 수행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보직을 해제하는 것)을 내렸어요.
- 대통령경호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했던 군 경호부대 33군사경찰경호대장과 수도방위사령부 산하 55경비단장군 등 파견 경호부대에 대한 간부 교체도 동시에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어요.
- 이러한 조치는 이재명 대통령이 선거 유세 당시 강조해 온 ‘내란 종식’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통령경호처는 조직 쇄신을 약속하며 “신뢰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어요.
대통령경호처가 ‘친위부대’ 지적을 받아 온 이유
대통령경호처는 박정희 정부 때부터 대통령 직속으로 운영돼 온 기관인데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법원의 체포영장과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막아 논란이 커졌어요. 특히 군 지원부대까지 동원된 대통령경호처의 대응이 사실상 ‘대통령 친위대’처럼 비쳤다는 비판이 쏟아졌고요. 더불어민주당과 시민단체의 고발까지 이어졌는데요. 대통령경호처는 경호처 창설기념일 행사를 기획하면서 사실상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생일 축하 파티를 열었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어요.
이에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대통령경호처에 대해 본격적인 개편을 시작했어요. ‘열린 경호, 낮은 경호’를 강조하며 이전 정부에서 진행 중이던 경호원 채용을 취소하기도 했고요. 힌편에선 대통령경호처를 아예 폐지하고, 전 세계 각국처럼 경찰 소속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고.
by. 에디터 오월 🍕
이미지 출처: ©Youtube/대통령경호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