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하이닉스 급등, 코스피가 10개월 만에 2800선 돌파한 이유

삼성전자·하이닉스 급등, 코스피가 10개월 만에 2800선 돌파한 이유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삼성전자·하이닉스 급등, 코스피가 10개월 만에 2800선 돌파한 이유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24,426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하자마자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어요. 전 거래일 대비 코스피는 2.66%, 코스닥은 1.34% 상승한 건데요. 임기 이튿날인 5일 오전에도 코스피 지수가 10개월 만에 2800선을 돌파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갔어요.

증시, 왜 오르는 거야?

  •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됐고 🔚: 12.3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조기 대선까지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면서 증시도 얼어붙었는데요. 선거가 끝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자 투자자들이 다시 증시에 돌아온 거예요.

  • 경제 공약 기대 모이는데 ✨: “코스피 지수 5000 만들겠습니다!” 하며 증시 활성화를 공약했던 이 대통령의 경제 공약에 대한 기대감도 한몫했다는 평가가 나와요. 상법개정안 등 증시 관련 공약을 실행하면 앞으로 주가가 더 오를 거라 기대하는 것.

  • 외국인까지 주식 싹쓸이 🤑: 한동안 우리나라 증시를 떠났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돌아오며 증시 상승을 이끌었어요. 4일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해 8월 16일 이후 처음으로 코스피에서 1조 원이 넘는 주식을 사들였어요.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데다가, 원·달러 환율이 내려오면서 투자 부담이 줄어든 영향이라고.

여기에 미국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관련주가 급등한 점도 우리나라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어요. 우리나라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크게 오른 거예요.

어떤 주식이 많이 올랐어?

이 대통령의 정책과 관련 있는 주식들이 큰 상승폭을 보였어요:

  • 증권 🏦: 증시 자체가 활성화될 거라는 기대에 증권주가 급등했어요. 증시가 활발해지면, 거래수수료 등 증권사의 수익도 늘어날 거라 기대하는 거예요.

  • AI 🤖: 이 대통령은 1호 공약으로 “AI 100조 원 민간 투자 이끌고, 전 국민 무료 AI 시대 열겠습니다!” 했는데요. 이에 AI 반도체·소프트웨어 관련 주식이 크게 올랐어요.

  • 재생에너지 ☀️: 기후에너지부를 만들어 재생에너지 비중을 적극 늘리겠다는 공약에 태양광·풍력 발전 관련 회사 주식이 주목받았어요.

  • 건설 🏗️: 세종 행정수도 완성, 공공기관 이전, 신도시 개발 등을 공약하자, 최근 분위기가 좋지 않았던 건설 시장이 활성화될 거라는 기대가 커지며 관련 주식이 올랐어요.

  • 지역화폐 💵: 이 대통령의 대표적인 사업인 지역화폐 활성화가 앞으로 더욱 힘을 받을 거라는 기대에 관련 업체들의 주식이 급등했어요.

이재명 대통령 공약, 자세히 알고 싶다면 👉 ‘내란 극복’부터 ‘세종 행정수도’까지, 이재명 후보 10대 공약 총정리

앞으로도 계속 오를까?

선거 이후 주가가 오를 때에는 “앞으로 이 종목이 잘 나갈 거야!” 하는 기대감이 실제 실적보다 앞서 주가에 반영되는데요. 때문에 곧 “이 정도 올랐으면 이제 팔고 돈 벌어야지!” 하는 차익 실현 매물이 많이 나올 수 있어요. 이에 전문가들은 단순히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만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개별 종목·산업별 중장기 전망을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아요. 

또,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잖아요. 트럼프가 앞으로 어떤 관세 정책을 펼칠지, 이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등도 잘 지켜봐야 해요. 미국이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일부를 취소할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오는 상황이라 우리나라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주가가 다시 내려갈 가능성도 있다고.

+ 역대 대통령 취임 후 주식 시장은 어땠을까?

새 정부가 출범하면 기대감에 일명 ‘허니문 랠리’가 나타나요. 역대 대통령 취임 후에는 대체로 증시가 상승세를 보인 것. 민주화 이후 대선에서 당선 후 한 달 간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요:

  • 1987년 노태우 전 대통령: 24.1% 상승

  • 1992년 김영삼 전 대통령: 4.2% 상승

  •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 16.6% 상승

  •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 10.3% 하락

  • 2007년 이명박 전 대통령: 6.8% 하락

  • 2012년 박근혜 전 대통령: 0.3% 하락

  •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 3.1% 상승

  •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 3.0% 상승

by. 에디터 하비 🤖
 

이 아티클 얼마나 유익했나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