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3사 공동 대선 출구조사, 이재명 51.7% 득표율로 당선 예측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방송 3사 공동 대선 출구조사, 이재명 51.7% 득표율로 당선 예측

21대 대통령선거 지상파 3사(KBS·MBC·SBS)가 한국방송협회와 함께 실시한 공동 출구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출구조사로 예측한 주요 후보들의 득표율을 살펴보면요: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51.7%
-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9.3%
-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7.7%
-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1.3%
이번 출구조사는 한국리서치·입소스·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을 통해 투표 당일인 6월 3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국 투표소 325곳에서 약 8만 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어요. 오차범위는 95% 신뢰 수준에 ±0.8%포인트에요.
출구조사, 믿을 수 있어?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는 역대 대선에서 모두 높은 정확도를 보였어요. 2012년 제18대 대선 시작한 이래 모든 대선에서 당선자를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특히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는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약 0.6%p 차이로 앞설 거라 예상했는데요. 실제 최종 개표 결과(0.73%p 차 윤 후보 당선) 두 후보의 득표율을 소수점 한 자리까지 거의 적중했어요. 다만 이번 대선에서는 높은 사전투표율이 출구조사 정확도의 변수가 될 전망이에요.
사전투표가 변수라고?
방송 3사 출구조사는 본투표 당일 전국 325개 투표소 근처에서 투표를 한 10만 명에게 직접 물어본 결과에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투표자 전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정값을 내는데요. 지난달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진행된 사전투표 참여율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34.74%를 기록하면서, 전화조사의 정확도가 얼마나 높을지가 출구조사의 관건으로 꼽히고 있는 것.
한편 대선 개표 결과의 윤곽은 자정 전후께 드러날 것으로 보여요. 하지만 후보 간 득표율 격차에 따라 윤곽이 드러나는 시점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개표방송, 어디서 볼지 고민이라면 👉 화려한 CG부터 알찬 토론·AI 예측까지, 대선 개표방송 어디서 볼까?
종편 예측 결과는 어때?
한편 TV조선을 제외한 종합편성채널들도 자체 예측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모두 이재명 후보의 당선을 예상했어요.
채널A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51.1%
-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8.9%
-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8.7%
JTBC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50.6%
-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39.4%
-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7.9%
MBN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49.2%
-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41.7%
-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7.8%
각 당 반응은 어때?
출구조사와 방송사 예측조사 결과가 나오자 민주당 상황실에서는 함성이 쏟아졌어요. 상황실에 모인 당 관계자들은 “이재명”을 외치고, 이재명 후보의 1위를 예상하는 지역별 지지율 조사 결과가 나올 때마다 박수를 치기도 했어요. 박찬대 상임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주권자 국민이 내란 정권에 대한 불호령 같은 심판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어요.
반면 국민의힘 상황실은 결과 발표와 함께 침묵이 흘렀어요. 그간 김문수 후보가 이재명 후보에 뒤지는 여론조사가 이어진 탓인지, 발표 전부터 무거운 분위기였는데요. 발표 뒤 곳곳에서 탄식이 쏟아지더니 몇몇 관계자들은 조용히 자리를 떠나기도 했다고.
개혁신당 역시 여론조사에서 1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했던 이준석 후보가 7~8%대 득표율을 보일 거라는 결과가 나오자 분위기가 가라앉았어요. 천하람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당선되지는 못했지만, 차기 정치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였다”는 평가를 남겼어요.
민주노동당은 선거캠프에서 권영국 후보도 선거캠프에 자리해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봤는데요. 결과가 발표된 뒤 권영국 후보는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누며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개표방송을 시청하고 있어요.
+ 출구조사, 왜 하는 걸까?
출구조사의 목적은 선거 결과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요. 나이·지역·성별 등에 따라 누가 어떤 후보를 왜 선택했는지 해석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것. 또, 선거 결과를 ‘검증’하는 역할도 하는데요. 실제 개표 결과와 출구조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부정선거 의혹이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해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