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고용률 OECD 1위? 3명 중 1명이 단순노무직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노인 고용률 OECD 1위? 3명 중 1명이 단순노무직

일하는 노인 10명 중 6명이 비정규직
- 2023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용률은 3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다는 보고서가 나왔어요.
- 고령층 일자리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보고서는 우리나라 고령층이 연금 부족 현상으로 재취업을 하고 있고, 기존의 경력과 전혀 무관한 일자리에 종사하는 경우도 많다고 분석했어요.
생계비 벌기 위해 취업 나선 고령층
이번에 조사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용률(37.3%)은 OECD 평균(13.6%)은 물론 대표적 고령화 국가인 일본(25.3%)보다 더 높은 수준인데요. 고령층의 고용률이 높은 게 꼭 바람직한 건 아니라고. 보고서는 이들이 이렇게 취업 전선에 뛰어드는 이유가 연금 소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실제로 65세 이상 연금 소득자의 월평균 연금 소득은 80만 원 정도로, 1인 가구 최저 생계비로 알려진 134만 원보다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연금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우니 쉬지 못하고 계속 일을 해야만 하는 거예요.
이밖에 고령층이 속한 일자리는 여러 면에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65세 이상 임금노동자 중 61.2%는 비정규직이고, 절반가량인 49.4%는 10인 미만 영세 사업체에 근무 중이며, 35.4%는 단순노무직인 것으로 조사된 것. 취업에 성공한 노인 인구의 대부분이 생계를 위해 기존 경력과 상관없는 저숙련, 육체노동 위주의 일을 하고 있는 거예요.
숫자로 본 고령층 고용 통계
- 65세 이상 고용률: 37.3%
- 65세 이상 비정규직 비율: 61.2%
- 65세 이상 10인 미만 사업장 종사자 비중: 49.4%
- 고령층 월평균 연금 소득: 80만 원
🔗 더 알아보기
*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아티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