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젠틀몬스터와 손잡은 구글, 10년 전 ‘스마트 안경’ 실패 뒤집을 수 있을까?

삼성·젠틀몬스터와 손잡은 구글, 10년 전 ‘스마트 안경’ 실패 뒤집을 수 있을까?

작성자 뉴닉

데일리 뉴스

삼성·젠틀몬스터와 손잡은 구글, 10년 전 ‘스마트 안경’ 실패 뒤집을 수 있을까?

뉴닉
뉴닉
@newneek
읽음 21,459

“슈퍼맨과 반대로, 우리는 안경을 쓰면 초능력이 생깁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구글 I/O(연례개발자회의)’ 발표 내용이 큰 화제를 몰고 있어요. 삼성전자·젠틀몬스터와의 협업으로 탄생할 ‘스마트 안경’부터, 기존의 키워드 중심 검색을 벗어난 새로운 ‘AI 대화형 검색’까지 공개됐기 때문. 구글의 굳건한 ‘1위’ 자리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 경쟁이 시작될 거란 말이 나와요.

삼성전자·젠틀몬스터와의 콜라보 스마트 안경 👓

  • AI 안경의 등장: 이날 구글이 공개한 스마트 안경 시제품에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들어가 있어요. 또한 안경에 탑재된 ‘제미나이 라이브’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인식하는데요. 안경을 쓴 사용자가 본 것을 AI가 함께 보게 된다고. AI 음성과 함께 안경 화면에 반투명한 그래픽이 뜨는 방식으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 눈앞에 구글 지도를 표시해 길을 찾거나 (2) 외국인과 대화할 때 말풍선을 통해 실시간 번역을 확인하고 (3) “아까 들고있었던 커피, 어디서 샀지?”라고 물어보면 안경은 카페 이름과 위치 등을 알려줘요.
  • 삼성과 함께 재도전: 구글의 스마트 안경 출시는 10년 만의 재도전이에요. 지난 2013년 구글은 ‘구글 글래스’라는 이름의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지만 싸늘한 시장 반응이 이어지며 2년 만에 단종했는데요. 구글은 “이번엔 다르다”며, 발전된 AI 기술을 통해 다시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어요. 애플의 헤드셋 ‘비전 프로’와 같은 혼합 현실(MR)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개발을 삼성전자와 협업하기로 발표했고요. 디자인 파트너로는 한국 브랜드 젠틀몬스터·미국 브랜드 와비 파커와 손을 잡아요.

구글은 스마트 안경과 함께, AI 시장에서의 새로운 변화도 예고했어요.

이젠 검색도 AI? 구글의 AI 활용 전략 🤖

  • “우리는 AI 퍼스트”: 이날 스마트 안경 시제품 발표와 함께 가장 강조된 건 구글의 이른바 ‘AI 우선’ 전략이었어요. 모든 제품에 AI를 접목하겠다는 건데요. 음성 대화형 AI 모델인 ‘제미나이 라이브’는 물론, 고성능 AI ‘제미나이 2.5’ 시리즈와 영상 생성 도구 ‘플로우(flow)’ 등 AI 적용에 활용될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도 공개됐어요. 
  • “검색의 새로운 시대”: 특히 주목받은 건 1998년 출시 이후 27년 동안 이어져 오던 ‘키워드 중심 검색’에서 벗어나겠다는 발표였어요. 제미나이 2.5가 적용된 새로운 ‘AI 모드’ 검색은 길고 복잡한 질문도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정리해 답변하는데요. 예를 들어 “이정후 선수의 경기를 보고싶어. 기차 시간도 알려줘!”라고 물으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경기 일정과 시간에 맞는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 가격 분포 등을 알려준다고.

구글이 AI를 내세우는 이유, 검색 시장의 위기 때문? 🔎

이렇게 구글이 AI에 집중하는 배경에는 검색 시장의 변화가 있어요. 구글은 전통적인 키워드 검색을 주도하며 시장을 지배해왔지만, 챗GPT 등 생성형 AI가 검색의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점유율이 흔들릴 위기에 처했는데요. 이에 구글은 “AI가 검색의 미래”라는 메시지를 내세우며 검색부터 클라우드·웹 브라우저·OS까지 모든 영역을 AI로 다시 설계하고 있어요. 사용자의 복잡한 작업을 AI가 자동으로 대신해주는 구조로 진화하면서, 단순한 검색 엔진에서 똑똑한 비서 역할의 ‘AI 에이전트’로 진화하는 그림을 그리는 것.

구글은 스마트 안경을 중심으로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를 공개하며, ‘AI 에이전트’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요.

AI 에이전트 시대, 구글의 입지는 이어질 수 있을까? 📈

AI 에이전트란 ‘단순히 똑똑한 것을 넘어, 여러 가지 도구를 AI가 직접 사용함으로써 사람이 원하는 일을 완벽히 대신할 수 있는 시스템’인데요. 이러한 AI 에이전트 시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어요.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고요.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AI 에이전트가 비즈니스 전반에 작동하는 시대”라며 AI를 자사 서비스 전반에 도입하겠다고 밝혔어요. 메타는 구글보다 앞서 이미 스마트 안경을 출시·개발해오고 있고요. 챗GPT의 개발사 오픈AI와 국내 기업 네이버·카카오 등도 AI 에이전트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최근 공개된 한 시장조사업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AI 에이전트 시장이 올해 78억 달러 → 2030년 526억 달러로 성장할 거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어요. 앞으로 5년 만에 7배 가까운 규모로 커질 거라는 것.

다만 구글이 기존 검색 시장에서 지켜온 1위 자리를 AI 에이전트 시장에서도 이어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예요. 앞서 말했듯이 수많은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경쟁에 도전하고 있고, 미국 법무부의 ‘반독점법 소송’이라는 변수가 있기 때문. 

최근 미국 법무부는 구글이 검색·광고와 구글의 웹브라우저 크롬의 통합으로 독점성이 강화됐다며,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크롬을 매각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요. AI 검색 시장에서도 구글의 독점이 우려된다고 밝혔고요.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선 기존 서비스와 AI의 통합이 필수적인데요. 이에 구글은 딥시크 등 중국 기업들의 AI 기술 발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선 이른바 ‘구글 완전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어요.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소송 결과에 따라 스마트 안경을 포함한 AI 시장 전망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by. 에디터 오월 🍕
이미지 출처: ⓒGoogle

이 아티클 얼마나 유익했나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