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야기의 초점이 약간 다르긴 하지만, 저는 용서란 무엇인지에 대해 사실 꽤 오랫동안 고민해 왔어요. 특히 ‘상대의 사과 없이 이루어지는 용서가 의미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요. - 용서를 하려면 우선 상대의 행동이 잘못됐다고 느껴야 하는데, 만약 상대는 본인의 행동을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 행동의 잘잘못을 과연 내가 마음대로 판단해도 되는 것인가? 판단의 기준은 어디서 찾아야 맞는 걸까? - 혼자 용서까지 했던 일을 상대가 한 순간도 잘못이라고 느끼지 않았다면 내가 한 것을 과연 용서라고 볼 수 있는 걸까? 오히려 내가 ‘상대를 봐 준다’ 라는 태도로 오만하게 구는 것은 아닌가? 등의 여러 가지 질문들을 혼자 속으로 많이 생각해 보았는데요, 저 질문들에 하나하나 답을 하지는 못했지만 나름의 방향성을 잡고 하나의 결론을 내렸습니다. 용서는 타인이 아니라 저 자신을 위한 것 같아요. 타인의 잘못을 포용하는 것보다는 빨리 제가 분노와 불행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이만 놓아주고 편해지자는 데에 의의를 두는 거죠. 용서라는 가치를 떠올렸다는 건 이제 제가 그 일을 뛰어넘을 수 있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는 거니까요. 비록 그 일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했더라도 말이에요. 상대가 자신의 행동을 어떻게 생각하든, 나에게 사과를 했든 아니든 상관없이 제가 그 일에 더 이상 연연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했다면 비로소 용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니 용서를 한 이후에 다시 슬픔이나 분노가 올라온다고 하더라도 자연스러운 거라고 생각하기로 했어요. 예전에는 용서를 했다면 그 일을 떠올렸을 때 일말의 부정적인 감정도 남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되니까 완벽을 추구하려고 마음을 좀먹게 되더군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용서는 저를 편하게 하기 위해 마음의 짐을 좀 내려놓는 과정이니까 ㅎㅎ 지금은 제 마음이 처음과 비교해서 얼마나 가벼워졌는지에만 집중하려고 노력해요. 그러다 보니 같은 사건을 떠올리더라도 전에 비해 훨씬 아무렇지 않게 되었습니다. 용서란 시간도 마음도 정말 많이 소모되는 행위지만, 경험하고 나면 내면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한 것 같아요. 혹시나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 용서에 대한 고민을 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용서를 형식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본인 마음이 편해지는 데에 먼저 집중해 보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용서는 따라올 거예요. 용서는 우리처럼 관대한 사람을 위한 거니까요!

답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