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 입장에서 서류 검토] 개인적으로 서류 검토는 기술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으로만 판단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서류만으로 적합한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봅니다. 많은 동료들과 일을 하면서 그리고 많은 후보자들과 인터뷰 과정을 거치면서 느낀 점 역시 자신을 표현하는 것과 일을 잘하는 것이 반드시 비례하지 않았던 경험도 있고요. 또 채용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는 채용에 들어가는 시간과 그리고 채용이 길어짐으로써 업무의 속도 저하, 성과 달성의 어려움, 구성원의 피로도 등 다양한 이펙트가 발생하는 것도 큰 부담이 됩니다.

에디
일 년 전•
JD에서 요구하는 업무의 경험이나 요건을 서류에 얼마나 담고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또 직무적으로 기대하는 역량과 경험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기술하고 있는가도 중요하다. 최근 UX 디자이너를 채용하면서 살펴본 수많은 UX 디자이너 이력서 중에서 실제로 유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무 진행을 기술한 사람은 30% 정도였습니다.
이번 UX 디자이너 포지션에서 가장 기대했던 경험과 역량은 실제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지표와 전환에 얼마나 기여하고 개선했는가였기 때문에 여기서 구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1
0
답글 0

에디 님에게 도움과 영감을 주는 답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