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5월 어느 날에는

매년 5월 어느 날에는

작성자 방구석디제이

방구석 DJ

매년 5월 어느 날에는

방구석디제이
방구석디제이
@bangkokdj
읽음 478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매년 5월 8일에는

매년 찾아오는 기념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막막한 느낌이 들게끔 하는 날이 있습니다. 바로, 5월 8일 어버이날이죠! 성인이 된 이후로는 부모님께 이 날마다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에 5월 초부터 굉장히 고민을 하곤 하는데요. 그 고민의 나날이 길어지다가 막상 어버이날 당일에는 별다른 것을 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해도 수두룩했던 것 같습니다. 올해는 연휴를 맞아 본가에 내려가 함께 식사도 하고 꽤 오래 시간을 보내다 왔는데요, 항상 집에 갈 때마다 느껴지는 익숙함과 편안함, 그리고 오래 있으면 발생하는 사소한 갈등(?)까지. 아무리 오래 밖에 나가 살았다고 할지라도 여기서 가족들과 함께 있을 때만 느낄 수 있는 감각 같은 것이 있습니다.

저는 굉장히 격동적인 성장기를 겪었는데요, 아주 갓난아기일 때는 너무 많이 울어서 가족들을 곤란하게 하다가, 이후 영유아 시절에는 아주 순하고 조용했다고 합니다.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그럭저럭 착하게 지내다가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는 또 광란의 반항기를 겪기도 했는데요. 그때는 왜 이렇게 내 마음을 몰라줄까! 하고 답답함이 더 컸다면, 조금 더 시간이 지나 그때의 저를 돌이켜보니 그저 '미X놈'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아무튼 어버이날을 기념하여 그런 저를 감당하시고 감내해주신 부모님께 한번 더 존경과 경의를 표하면서, 제가 오늘 소개해드리고 싶은 영화 추천코너로 넘어가보겠습니다!

-

🍚라이스보이슬립스

영화 제목이 굉장히 독특한데요, 'Riceboy Sleeps'라는 제목은 이 영화의 감독, 앤소니 심 감독이 동명의 노래에서 감명을 받아 따왔습니다. 본인의 자전적인 내용도 일부 들어가 있는 이 영화는 엄마 '소영'과 아들 '동현'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19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미혼모가 낳은 아이의 출생신고가 불가능했는데요. 이미 살아있는 아이에게 이름을 붙여줄 수 없는 이 나라를 떠나 '소영'은 캐나다에서 삶의 터전을 꾸려나가기 시작합니다. 아무 연고도 없이 도착한 캐나다에서 '소영'과 '동현'은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가는데요, 동현은 커가면서 도시락으로 쌀밥을 먹는다는 이유로 '라이스보이'라고 불립니다. 비록 엄마와 함께 살고 있지만 끊임없이 자신의 뿌리,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궁금함을 해결하지 못했던 동현은 점차 소영과 관계가 소원해지고 마는데요.

서로에 대한 애정은 증명할 필요도 없이 분명하지만, 그 애정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에 놓인 이 가족을 보면서 저도 저와 제 가족에 대한 생각을 계속해서 연결지어 떠올렸던 것 같습니다. 아무튼, 다시 영화로 돌아오자면! 이 영화는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담겨있는 만큼 동현에게 주로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데요, 영화가 진행될수록 초점은 동현에서 소영으로 조금씩 이동하기도 합니다. 동현이 바라보는 소영이 아닌, 소영 그 자체로서의 인물로 말이죠. 동현이에게는 의지할 만한 '엄마'이자 '어른'이 있었다면, 사실 소영에게 의지할 인물은 동현이라는 아이뿐이었습니다. 보다 책임감과 막막함을 느꼈을 그 시절의 소영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영화는 두 모자의 애정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로 넘어갑니다. 

영화를 홍보하기 위한 카피 문구로 '모든 게 낯선 곳, 서로가 유일했던 시간'이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이건 캐나다라는 낯선 타지에서의 소영과 동현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소위 '나도 부모(자식)가 처음이라...'라는 말을 곧잘 우스갯소리로 쓰기도 하는데요, 이런 것처럼 가족은 누구나 서로가 유일한 존재이자 동시에 익숙하면서도 낯선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이렇게 정체성과 관련된, 그리고 이민자와 관련된 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몇 년 전, 여러 큰 상을 수상했던 <미나리>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영화도 꼭 추천해드리고 싶군요!

-

🎵오늘의 노래: Keshi - Dream

영화에서도 많은 좋은 노래가 나옵니다만, 오늘은 제가 이 영화와 잘 어울리고 또 아침에 차분하게 듣기 좋은 노래를 하나 따로 추천해드립니다!




🤔Muttertag ist schon da! 

5월의 긴긴 연휴가 벌써 다 지났다니. 이 상실감을 어찌해야 할까요? 사실 이곳 독일은 연휴가 아니라 출근을 해야 했는데요. 어린이도, 어버이도 행복했을 연휴 동안 친구나 지인들의 sns를 들여다보며 저도 간접적으로 참 즐거웠습니다. 한국은 5월 8일이 어버이날이잖아요. 그런데 독일은 5월 둘째주 일요일은 'Muttertag'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습니다. 어쩐지 토요일에 외출을 나갔더니 거리에 꽃다발을 든 사람들이 엄~청 많은 거예요. 왜인가 했더니, 다음 날인 11일이 올해의 Muttertag인데 일요일은 꽃집이 문을 안 열기 때문이었어요! Muttertag은 우리로 치면 어버이날 같은 기념일인데요. die Mutter = 엄마, der Tag = 일, 날 이라는 뜻입니다. 정확히는 어머니만 지칭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Vatertag, 그러니까 아버지를 위한 날은 없을까요? 정답은? 두구두구...

Vatertag도 있습니다. 바로 성모승천일과 동일한 5월 29일인데요. 느낌상 Muttertag을 좀 더 크게 기념하는 것 같긴 합니다. 성모승천일이 전국의 모든 주가 다같이 쉬는 공휴일이기 때문도 있겠지만요. 아무튼, 매년 5월이 되면 부모님의 사랑이나 이제껏 해주신 지원을 자연스레 떠올리게 됩니다. 

-

📰엄마를 부탁해

어버이날이라는 주제를 듣고 생각난 책이 있습니다.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입니다. 이 책을 처음 읽은 장소는 고등학교 야간자율학습실이었어요. 야자가 의무가 아니게 된 지금은 좀 다른 양상을 띄는 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때는 의무였던 야자를 하기가 참 싫었습니다. 그럴 땐 아무 책이나 집어들고 첫장부터 읽어내려갔는데요. 이 책을 읽고는 많이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책의 줄거리는 이러해요. 어느 날 갑자기 서울에 오려고 지방에서 먼 길을 왔다가 사라진 엄마를 찾기 위해 형제들이 각자 의견을 나눕니다. 큰딸인 '너'는 엄마가 대체 언제, 어떻게 사라진 것인지 혼란스럽습니다. 모두들 엄마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 하지만, 사실 그 토론의 장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분위기입니다. 혹은 처음부터 그러지 않았다면, 하는 후회의 말들로 얼룩져있죠. 포스터를 붙여서 엄마를 찾자는 말을 듣고 '너'는 포스터에 무슨 내용을 써야 할 지 고민합니다. 그때 형제들은 엄마 (박소녀)의 삶이 어땠는지 뒤늦게 제대로 반추하기 시작합니다. 

엄마의 엄마나, 엄마의 어린시절들. 당연히 존재했음에도 어쩐지 당연하게 느껴지지 않는 주제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엄마에게도 처음이 있었나? 어리숙한 시절이 있었나? 싶은 거죠. 물론 저만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만은... 엄마를 어떤 사람이다, 하고 설명하기 위해 엄마의 취향을 정의하려고 보면 엄마가 뭘 좋아하는지 내가 잘 알고 있나? 자꾸 스스로에게 되묻게 됩니다. 엄마는 엄마인데, 하는 생각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엄마이기 전에 한 인간이라는 사실은, 언제나 알지만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이 책은 그 미묘한 부분을 적절히 꼬집고 있어서 읽을 때마다 자꾸 눈물을 쏟게 되나 봅니다. 

그들은 과연 엄마를 무사히 찾을 수 있을까요? 결말이 궁금해지셨다면 가정의 달인 5월에 이 책을 읽어보시는 건 어떠실지요! 

-

🎵오늘의 노래: 10cm - 너에게 닿기를
날씨가 좋은 5월이라 그런지 밖에 나가 걸을 때 활기찬 KPOP을 듣기가 좋더라고요. 최근 정식 발매된 10cm의 너에게 닿기를을 추천합니다! 예전에 열심히 봤던 애니메이션이 생각나서 향수가 느껴지기도 해요.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