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농약, 유기농, 저탄소 무엇이 다를까?

무농약, 유기농, 저탄소 무엇이 다를까?

작성자 youngpaper

알고 먹는 재미

무농약, 유기농, 저탄소 무엇이 다를까?

youngpaper
youngpaper
@youngpaper
읽음 2,657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뉴니커들은 무농약과 유기농의 차이를 아시나요? 친환경 소비를 실천하고 싶은 뉴니커라면 오늘의 아티클을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친환경 인증 상품에 대한 정확하고 확실한 기준과 구별법을 알려드릴게요.

천연, 자연 성분, 친환경, 저농약 재배, 식물성, 무해...

위 단어 중 어떤 단어가 친환경 인증 상품에 속할까요? 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친근하게 볼 수 있는 문구들인데 모두 비슷해 보여서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정답은 무엇일까요? 놀랍게도 모두 친환경 인증 상품으로 알 수 없는 단어들입니다.

 

그렇다고 사용할 수 없거나 잘못된 표현은 아니에요. 실제로 천연 재료나 식물성 성분을 담은 음식도 있거든요. 문제는 이처럼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소비자를 현혹하고 친환경 인증 상품인 척 둔갑해서 판매하는 업체들입니다. 이를 걸러내고 구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올바른 인식이 필요해요.

 

🔍 제대로 된 인증마크를 확인하세요

신뢰할 수 있는 친환경 상품을 구입하고 싶다면 아래 인증마크를 확인하면 됩니다. 무농약, 유기농, 저탄소 인증마크는 각각 다른 측면에서 평가하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본 뒤 개인의 기준과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요.

📌 무농약

농약X, 화학비료 O (권장량의 1/3 이하)

합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작물이 잘 자라도록 뿌리는 화학 비료도 권장량의 1/3 이하로 사용한 농산물을 말합니다. 유효기간은 1년.

📌 유기농

농약 X, 화학비료 X

합성 농약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작물 돌려짓기(윤작) 같은 유기 재배 방법에 따라 생산한 농산물을 뜻합니다. 유효기간은 1년.

📌 저탄소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 농산물에 부여해요. 사전에 친환경(유기농, 무농약) 또는 GAP(농산물우수관리) 인증을 취득한 농산물을 대상으로 해요. 유효기간은 2년.

그 외에 위와 같은 인증 마크도 친환경 농축산물에 해당합니다.

유기농 인증 마크와 생산 정보

추가로 진정한 친환경 농산물은 인증 마크와 함께 고유의 인증번호를 갖고 있어요. 친환경 인증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인증번호를 검색하면 생산자, 생산지 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