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와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작성자 우따따
어린이와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우리는 매일 뉴스를 통해 죽음을 접합니다. 사고, 전쟁, 질병...우리 사회에서는 죽음이 반복되지만, 이에 대해 어린이와 이야기하는 건 어쩐지 어렵게 느껴집니다.
“누구나 언젠가 죽는 거야?”
“할머니는 어디로 가신 거야?”
갑자기 어린아이가 이런 질문을 한다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어린이에게도 삶과 죽음은 자연스러운 경험입니다. 하지만 어른들은 ‘너무 무섭진 않을까?’ ‘아직은 모르는 게 좋지 않을까?’ 하며 죽음에 대해 말하기를 주저합니다. 그런데,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 오히려 어린이들은 더 큰 불안을 느낄 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어린이에게 죽음을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어린이의 시각에 맞춰 죽음을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지 우따따가 알려드릴게요. 양육자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질문을 모아봤어요.
Q1. 어린이도 죽음을 이해하나요?
A1. 어린이는 만 3~5세가 되면 죽음의 개념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하지만 그것이 영구적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돌아가신 할머니가 언제 다시 오냐고 물을 수 있는 것이죠.
만 5세 정도가 되면 점차 죽음을 마지막이라는 것, 보편적이며 불가피한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면서 어린이는 죽음에 대해 감정적으로도 반응하기 시작해요.
Q2. 죽음에 대해 꼭 알려줘야 할까요? 아직은 안 알려주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A2.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회피하거나 숨기는 것이 오히려 어린이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양육자가 두려워하는 기색을 보이며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회피한다면 어린이도 그러한 신호를 읽고 비슷한 걱정을 하게 되지요. 또한 책이나 TV 등을 통해 죽음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오히려 더 큰 불안감과 공포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Q3. 그럼 어린이에게 어떻게 설명해 주면 좋을까요?
A3. 죽음에 대해 ‘자고 있다’거나 ‘멀리 떠났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은 어린이에게 쉽고 친숙하게 느껴질 수는 있지만 오히려 어린이들을 더 혼란스럽고 두렵게 만들 수 있어요. 잠드는 것, 일시적으로 헤어지는 것에 대해 오히려 더 큰 불안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더이상 숨을 쉬지 않고, 심장이 뛰지 않고, 몸이 움직이지 않는다’와 같은 일반적인 설명이 더 좋아요.
주변 사람이나 동물과의 이별의 슬픔을 회복하는 이야기가 담긴 그림책을 읽어보는 것도 어린이가 죽음에 대해 느끼는 막연한 두려움을 덜어줄 수 있어요.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는 어린이와 읽어보기 좋은 그림책 추천
어린이가 ‘죽음’에 대해 더 질문한다면, 지금 우따따 홈페이지에서 <"죽음이 뭐예요?" 물어볼 땐 이렇게 알려주세요> 아티클 전문을 확인해 보세요.우따따 추천 그림책을 볼 수 있어요. 가까운 이의 죽음에 대해 어린이와 대화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양육가이드에서 더 알아보셔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