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어린이에게 설명하는 법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어린이에게 설명하는 법

작성자 우따따

우따따's VIEW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어린이에게 설명하는 법

우따따
우따따
@wooddadda
읽음 17,386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참담한 심정의 주말입니다. 연말을 맞이해 들뜬 마음으로 여행을 떠났다가 영영 돌아오지 못한 피해자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오늘 오전 방콕에서 돌아오던 제주항공 비행기가 사고로 폭발하는 비극적인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지금 티비와 소셜미디어, 유튜브에는 사고 당시 영상이 무분별하게 유포 되고 있습니다. 방송사들이 앞다투어 속보를 내보내는 중이라, 양육자와 함께 이 소식을 접하게 된 어린이들도 있을 텐데요.

영유아의 경우 미디어에서 접한 영상과 실제를 구분하지 못해 과도한 두려움에 휩싸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미 영상에 노출된 유아라면 아래 공유드리는 대화법을 바탕으로 꼭 대화를 나누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혹시나 의도치 않게 어린이에게 사고 영상을 노출 했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런 국가적 재난을 어린이와 어떻게 이야기 나눌 수 있을지,
곧 비행기를 타고 여행 갈 예정이었다면 어린이를 어떻게 안심 시킬 수 있을지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와 미국소아학회의 조언을 중심으로 정리했어요.

1.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객관적인 시각으로 설명해주세요.

만약 어린이가 이미 사고 소식을 접했다면, 막연한 공포감을 갖지 않도록 객관적인 시각으로 사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아직 사고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비행기가 착륙 중에 문제가 생겨 사고가 났다고 얘기해 줄 수 있어요. 사실을 기준으로 객관적으로 설명하되, 사건을 지나치게 무섭게 느끼게 하거나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해주세요.

2. 지역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걸 알려주고 안심 시켜주세요.

어린이는 혹시나 이런 사고가 자신에게도 일어날 거라 걱정할 수도 있어요. 특히 곧 비행기를 타고 여행 갈 계획이 있는 어린이라면 더 불안할 거예요.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고 알려주세요. 소방관과 경찰, 구급대원이 다친 사람을 구조하고, 의사와 간호사가 다친 사람들을 보살피고 있다고요.

또 숫자를 이해하는 어린이라면 비행기 사고가 다른 사고에 비해 얼마나 드문 일인지 통계를 보여주며 걱정하지 않도록 안심시켜 주세요. (통계 기사 공유드립니다)

3. 이 사건으로 다른 사람들은 어떤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우리에게 미친 영향과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해요.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쳐서 그 사람의 가족들이 무척 슬픈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걸 알려주세요. 어린이가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을 위로해 주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고 싶어한다면 함께 슬픔을 애도 할 수 있어요. 종교가 있다면 종교의 방식대로 추모를 하거나, 위로 편지 쓰기나 짧은 묵념을 할 수 있어요.

4. 어린이와 대화를 나눈 이후 가정에서는 이런 부분에 대해 주의해주세요.

✔️ 텔레비전, 소셜 미디어, 인터넷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건 이미지와
영상으로부터 어린이를 멀리 해주세요.

사건에 관한 이미지나 영상은 어린이를 놀라게 할 수 있어요. 가급적 미디어를 제한하고 해당 사건 관련해서는 가족 또는 선생님 같은 믿을 수 있는 가까운 어른과 나눌 수 있도록 해주세요.

어린이는 이미 사건 관련 이미지나 영상을 보았거나 후에 다른 친구로부터 사고 소식을 들을 수 있어요. 그러니 어린이가 먼저 말하기를 기다리지 말고, 해당 사건 관련하여 보거나 들은 것이 있는지 물어보고 관련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언제든지 물어봐도 된다고 얘기해주세요.

✔️ 어린이의 질문을 피하지 말고
객관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어린이는 해당 사건과 관련해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를 물어볼 수 있어요. 기체 결함, 유가족 등의 단어를 묻는다면 사전적 정의를 알려주세요.

또 죽음에 대해 궁금해하거나 큰 두려움을 가질 수 있어요. 어린이가 죽음이 무엇인지 궁금해 한다면 ‘심장이 더 이상 뛰지 않고 몸이 말을 듣지 않게 되는 것'처럼 객관적인 사실을 간단히 이야기해 주세요.

다만, 죽음을 ‘여행'이나 ‘잠’으로 비유하는 것은 어린이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여행이나 잠에 관해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어 피해 주세요.
*어린이에게 죽음을 알려주는 건강한 대화법은 이 링크를 참고하세요.

✔️ 어린이가 해당 문제를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지 관찰하세요.

예민하거나 공감능력이 뛰어난 아이라면 해당 사건 이후 이러한 징후가 발견될 수 있어요.
*이 경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수면 문제: 잠들기 어렵거나 잠들지 못하거나
    깨어나기 어려움, 악몽 또는 기타 수면 장애.

  • 신체적 문제: 피곤함, 두통 또는 복통을 호소,
    일반적으로 몸이 좋지 않은 느낌을 호소.

  • 행동의 변화: 평소보다 너무 많거나 적은 식사량.
    사회적 퇴행, 미성숙한 행동, 참을성 부족 및
    과한 요구하기 또는 짜증을 포함한 퇴행적 행동.

  • 정서적 문제: 과도한 슬픔, 우울, 불안, 두려움.


죽음에 관해 어린이와 이야기 나누는 방법을 고민하신다면,
우따따 아티클 중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을 참고해주세요.

비행기 사고가 다른 사고에 비해 얼마나 드문 일인지 알려주는 통계 기사도 공유드립니다.
숫자를 알고 있는 어린이를 안심시키고 싶은 분들은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