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그리고 가정: 대체, 왜, 여전히 여성은 남성보다 적게 버는가?

커리어 그리고 가정: 대체, 왜, 여전히 여성은 남성보다 적게 버는가?

작성자 말로

알책수다

커리어 그리고 가정: 대체, 왜, 여전히 여성은 남성보다 적게 버는가?

말로
말로
@user_usj73co68g
읽음 3,873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안녕하세요, 책수다 뉴니커 여러분! ✨

이번 알책수다에서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클라우디아 골딘 교수의 『커리어 그리고 가정』을 다뤄보려고 해요.

과연 여성들은 커리어와 가정, 양쪽에서 만족스러운 성취와 보람을 가질 수 있을까요?
특히, 우리나라는 남녀임금 격차 31.2%, OECD 최고 라는 불명예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해결책이 필요할까요?

오늘은 명쾌한 정답을 찾기 어렵지만, 결코 포기하지 말고 우리 모두가 고민하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대해서 한번쯤 생각해 봤으면 해요.

📈 여성들의 일과 삶, 여전히 고된 여정

딜로이트의 'Women @ Work 2024' 보고서를 보면 여성들의 상황은 여전히 쉽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가사와 육아 책임을 주로 떠안는 여성들이 많아지면서, 정신 건강이 좋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도 늘고 있어요. 실제로 유연 근무를 요청하는 것조차 승진 기회를 막을까 두려워하는 여성들이 대부분이라고 해요.

클라우디아 골딘 교수는 『커리어 그리고 가정』에서 이런 현실을 '탐욕스러운 일자리(greedy jobs)'라는 개념으로 설명해요. 이는 긴 근무 시간과 불규칙한 일정이 필수인 직업을 말하죠. 가족을 돌보거나 개인적인 삶을 지키기 위해 유연한 일자리가 필요할 때, 이러한 탐욕스러운 일자리는 큰 걸림돌이 돼요.

특히나 여성들에게 말이죠.

🕰 여성들의 커리어 도전, 시대별로 달라요

골딘 교수는 지난 100년간 여성들이 겪어온 커리어와 가정의 균형을 다섯 세대로 나눠 설명해요. 1900년대 초반의 여성들은 직업과 가정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었고, 그 선택은 사회적 기대에 의해 크게 좌우됐어요. 시간이 흘러 1980~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대학 졸업 여성들이 커리어와 가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죠.

그러나 여기서도 문제가 있어요.

바로 첫 아이 출산 후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진다는 점이에요. 여성들이 커리어를 지속하기 어렵게 만드는 주된 이유는 바로 이 시기부터 생기는 경력 단절입니다. 이는 여성들이 계속해서 유연한 시간표를 가진, 하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보수를 받는 직업을 선택하게 만들고, 결국 경력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는 거죠.

👩‍⚕️ 코로나 이후, 더 어려워진 상황

팬데믹은 여성들에게 특히나 가혹했어요.

많은 여성들이 돌봄의 부담을 떠안으며 노동 시장에서 이탈해야 했고, 이로 인해 여성들의 경력 발전이 저해됐죠. 하지만 유연 근무와 원격 근무가 일상이 되면서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도 보여줬어요. 골딘 교수는 이런 변화가 여성들이 경력과 가정을 더 잘 균형 맞출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해요.

🚨 '탐욕스러운 일자리'와 성별 임금 격차

성별 임금 격차, 도대체 왜 벌어지는 걸까요?

골딘 교수는 단순한 차별 때문만은 아니라고 설명해요. 특히 첫 아이 출산 이후 여성의 경력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소득 격차도 벌어집니다.

탐욕스러운 일자리들은 긴 시간 근무와 항상 대기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육아와 가정 책임을 맡은 여성들이 다가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요. 그러다 보니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유연하지만 수익성은 낮은 직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결국 성별 임금 격차로 이어지는 거죠.

🔑 그렇다면 해결책은?

클라우디아 골딘 교수의 『커리어 그리고 가정』은 여성들이 겪은 오랜 도전과 그 속에서 발견된 해결책을 제시하며, 우리가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길을 탐구합니다.

가사와 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직장 구조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반드시 필요해요. 고용주들은 직원들에게 시간적 유연성을 더 많이 제공하고, 돌봄 노동의 중요성을 재평가해야 해요. 또 남성들도 가사와 육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죠.

특히 부모 휴가 정책을 강화하고, 현장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정책이 필요해요. 골딘 교수는 유연 근무 기회를 제공하고, 일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고자 합니다. 이 변화는 단지 여성들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어요.

"과연 우리는 커리어와 가정을 모두 가질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복잡하지만, 골딘 교수는 근본적인 변화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탐욕스러운 일자리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돌봄 노동의 가치를 높이며, 남성들도 가사와 육아의 책임을 나누는 사회가 되어야만 성평등과 부부 간 형평성이 가능해 진다고 이야기 해요.

커리어 그리고 가정

💭 생각나누기

책수다 뉴니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정말 커리어와 가정을 모두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는 사회가 가능할까요?
우리가 일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면, 어떤 변화가 가장 중요할까요?
골딘 교수이 제시한 해결책이 과연 현실성이 있을까요?

좋은 소식은, 문제가 당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문제는 시스템에 있다. 
나쁜 소식은, 문제가 당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문제는 시스템에 있다.

이번 알책수다에서 다룬 이야기가 여러분의 생각을 자극했다면, 함께 이야기 나눠봐요. 우리 사회의 변화를 위해 고민해 볼 문제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