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로 단상 with 연극

대학로 단상 with 연극

작성자 블라디

평범한 사람의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들

대학로 단상 with 연극

블라디
블라디
@user_tulr0bdtrv
읽음 219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연극이 보고 싶어 오랜만에 극장을 찾았습니다. 연극을 극장에서 본 기억은, 직원들과 함께 문화의 날로 왔었던 수년 전, 그리 오래 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정확한 기억인지는 모르겠네요. 하지만 그땐 연극만 보고 헤어졌기에 대학로를 거닐지는 못했습니다.(2-3년 전에 진행한 행사로 마로니에 공원은 다녀갔었네요.)

​아무튼, 배우들이 연기하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는 연극이 때론 그리워질 때가 있는데, 요즘이었던 것 같습니다. ​

꼭 대학로에서 연극을 보고 싶었고, 무엇을 볼까 검색을 하다가 요즘 절찬리 공연중에 있는 몇 가지 연극을 알게 됐습니다. 그 중에서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시간이 맞는 하나를 예매해야지 하다가 우연히 '늘근 도둑 이야기' 소식을 보게 되었습니다. 검색에서 바로 알려주지 않는 연극이었지만, 우연히 알게 되었고 이 연극 또한 2년전부터 계속 공연 중에 있는 연극이었습니다. 더 관심이 갔던 건 연극이 주인공이 낯이 익은 박철민 배우였고, 80년대부터 해오다 말다를 반복햇던 연극이었기에 뇌리 속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연극 정보에도 분명 코미디라고 써 있었음에도 늙은 도둑의 잔잔한 이야기인줄로만 알고 봤는데, 근래에 가장 많이 웃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연극을 기다리며 이리저리 보냈던 시간동안 몇 가지 느낀점을 남겨봅니다.

  • 역시나 연극은 실망시키는 않는다

기대하지 않고 봤던 연극에서 너무 많이 소리내어 웃었습니다. 비록 박철민 배우는 아니었지만, tv에서 봤던 배우 2명이 출연진에 있었고(출연배우는 모두 3명) 그들의 연기와 (어디서 부터 어디까지가 애드립인지 알 수 없을)애드립, 분위기를 좌우하는 노련함이 느껴지는 무대였습니다. 작년에 대학 연극동아리의 신입생들의 초연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보는내내 내가 다 민망할 정도였던 공연임을 생각해보니 역시 프로는 다르구나 했습니다.

이 감동을 유지하기 곧 다시 한번 연극을 봐야할 것 같습니다.(연극의 자세한 이야기는 직접 한번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대학로에는 연극 공연이 예전처럼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

검색을 하며 대학로에서 하는 연극을 찾아보았는데, 생각보다 많지는 않았습니다. 동시에 이제는 소수의 인원이 들어갈 수 있는 소극장보다는 영화관은 아니지만 소극장보다는 크고 영화관보다는 시설이 좀 덜 갖춰진 공연장을 많이 바뀌고 있구나 느껴졌습니다. 이번에 본 연극도 100명이 넘게 들어갈 수 있는 공연장에서(등받이와 팔걸이가 있고, 무대가 객석보다 위에 있는 공연장) 진행되었는데, 생각보다 쾌적하고 편해서 좋았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연극의 맛은 배우들의 숨결, 표정을 볼 수 있는 것이이게 앞쪽에 앉은 우리에게는 나쁘지 않은 공연장이었습니다. 이제는 이런 연극 공연도 '아트홀''00홀'이라는 이름을 단 (작거나 크거나)공연장에서 하게 되고, 대학로 뿐 아니라 홍대, 이태원, 합정 등 조금 핫하다는 지역에서도 많이 한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 대학로에는 서울대 의대가 있다(물론 성균관대도 있습니다)

혜화역 인근이 '대학로' 라 불리는 데는 스토리가 있습니다. 저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예전에 지금의 혜화역 인근에 '서울대학교'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그 곳이 '대학로'로 불리어졌다는 정도만 알고 있고, 지금도 서울대 의대는 마로니에 공원 건너편(혜화역 3번 출구 뒷편)에 서울대 병원과 함께 있습니다. 이번에 다시 위성지도를 보니 꽤 넓게 학교와 병원이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큰 도로를 걷다 보면 오래된 예전 서울대 건물이 남아 있어서 저 정도만 남았나 보다 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서울대 의대 박물과도 있다고 하니, 다음에 한번 가 봐야겠습니다.

대학로에는 서울대 뿐 아니라, 여러 역사적인 건물도 꽤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얼마전 문을 닫은 학전부터, 흥사단 건물에, 예전에 '샘터'잡지사(지금은 없어짐), 그리고 마로니에 공원 옆에 있는 '예술가의 집'(일제시대때부터 사용되었고, 6.25 전쟁때는 미군이 서울을 재수복하여 미군기지의 중앙부서 건물로 사용했던)까지.. 물론 더 이전 시대의 역사들도 더 있을 겁니다 분명. 대학로 역사 탐방 투어도 괜찮을 것 같네요.

  • 대학로에도 맛있고 예쁜 곳들이 많이 있다

재작년, 작년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행사가 있어 오긴 왔었는데, 공원에서만 행사를 치루다 보니 그 주변을 볼 시간이 없었는데, 이번에는 저녁 해결을 위해 이곳 저곳을 알아보다 많은 식당을 알게됐고, 한 식당에서 저녁을 먹기 위해 그 곳을 찾아가다, 먹고 나와서 극장으로 가다가 골목골목에 예쁜 식당과 맛있는 식당(초저녁에도 줄을 서있는)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연극보러 오는 사람들을 위한 식당과 카페들만 있을 줄 알았는데, 너무나 오랜만에 온 탓일까요.. 아직까지 대학로는 살아있구나 아니 연극보다 이제는 이런 식당들로 사람들에게 유명해지고 있구나 싶었습니다. 특이했던 건 그 거의 모든 식당과 카페들이 한옥이었던것. 동네가 동네다 보니 많은 한옥들을 리모델링 해서 예쁘게 꾸민 것 같았습니다.

  • 대학로는 9시면 문을 닫는다

연극이 끝나고 나왔는데 9시쯤이었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이렇게나 없다니, 카페들에 사람들이 이렇게 없다니, 의류매장 문도 닫혀있다니... 조금은 놀랐습니다. 다음 날이 휴일이라 당연히 북적북적 할 줄 알았는데, 밤 11시는 된 듯한 느낌에 조금이 놀랐습니다. 대학로는 밤문화가 형성된 곳은 아닌듯 했습니다. 이 시간이면 홍대입구역은 이제 시작일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대학로에 공정무역카페가 있다

대학로에 이렇게 큰 공정무역카페가 있는 줄 뒤 늦게야 알았습니다. 단순히 몇 가지 공정무역 원두를 사용하는 카페가 아닌 공정무역 커피와 티, 각종 공정무역 제품까지 공정무역 제품만 있는.. 예쁜 건물과 인테리어는 덤... 그것도 공연장 인근에 있었는데 그 사실을 모른 채 연극 시간을 별다방에서 기다린 게 오래만의 대학로 여행에서 가장 큰 오점이었네요..

​​

오랜만의, 짧았던 대학로 기행.

다음엔 공정무역 카페에서 여유로이 커피한 잔 해얄 것 같습니다.

시리즈32개의 아티클

평범한 사람의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