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세상을 바꾸는 1원
작성자 은진송
사유서를 쓰시오
9. 세상을 바꾸는 1원

❐ 9월 말의 사유서: 세상을 바꾸는 1원
﹆https://seeds.stibee.com/p/24/
•1유로가 동네에 불어넣은 생기•
출처 ・ 홍대, 신촌, 송정 텅텅 빈 서울 속 죽은 상권에서 이런 실험을?! | ASKED - 씨리얼 (유튜브)
⎯ 로칼 퓨처스의 최성욱 대표는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빈 건물을 1유로에 빌리거나 구매해 리모델링하고, 그 건물로 수익을 창출하여 도시 재생을 도모한 사례에 착안해 서울 송정동에서 1유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됩니다. 송정동은 성수동 근처라는 이유로 땅값이 덩달아 치솟았고, 상권이 미처 형성되기도 전에 투자자들이 구매한 근린생활시설 용도의 건물이 많아지면서 빈집이 늘어났다고 해요. (이 흐름의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시의 빈집은 사회 문제 중 하나라고 합니다. 미관상 좋지 않다거나 관리가 안 되어 환경에 좋지 않은 점도 문제지만, 한 동네에 빈집이 늘어날수록 해당 지역이 슬럼화되어 지역 경제가 쇠퇴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된다고 해요. 주택총조사에서 2020년 우리나라의 빈집은 약 151만 호로, 약 80만 호였던 2010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국토연구원, 2022). 1유로의 선순환은 계속될 수 있을까요?
•1센트가 대중에게 건넨 소수의 전유물•

<뉴욕 선(The Sun)> 오피스 건물(1893)
출처 ・ Flickr Commons by the British Library (자유이용저작물)

<뉴욕 선(The Sun)> (자유이용저작물)
⎯ 이러한 신문의 대중화는 이슈를 자극적이고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관행인 황색 저널리즘이 등장하는 데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습니다. 한편 이 시기에 탐사보도, 부조리나 비리 취재 등도 매우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약간 아이러니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하네요.
•1프랑의 상영이 아이맥스가 되기까지•
출처 ・ La Sortie de l'Usine Lumière à Lyon (le Premier Film) (1895) - Institut Lumière (유튜브)
⎯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매체이자 종합예술의 시작. 이때의 영화는 단순 기록물 정도였지만, 이후로 무성에서 유성으로의 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서사 구성의 발전, 그리고 스튜디오 시스템 같은 제작 체계를 거치고 또 변화를 겪으며 지금까지 오게 되었네요. 영화야 사랑해….
⌔ 관련 자료를 열 개 넘게 찾아봤는데 반은 열 편의 프로그램이 최초고, 반은 <열차의 도착>이 최초래요🫠 그런데 영문 매체와 영문 자료에서는 <~노동자들>을 포함한 열 편의 프로그램이 최초라고 설명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위와 같이 서술하였습니다. 영어로 써 놓은 프랑스 사이트들도 그렇게 말하고 있어서요. (혹시 정확히 아시는 분 있다면 알려주세요.)
❍ 생각 더하기
9월의 영화 추천
룩백 | 원작 후지모토 타츠키 | 감독 오시야마 키요타카

이 부분 제 눈물버튼…. 본 사람들끼리 눈물 버튼 다른 것도 흥미롭습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