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3·1절에 가면 좋을 서울 여행지!🙌
작성자 여행어디로갈까
여행 어디로 갈까
이번주 3·1절에 가면 좋을 서울 여행지!🙌

뉴닉커들! 이번주 토요일 3·1절을 맞이해 3·1절에 가면 더 의미 있을 서울 여행지로 준비했어요! 순국선열의 희생과 헌신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뉴스레터를 준비해 봤는데요. 3.1절 여행지 랜선으로 먼저 만나보실까요?
오늘 뉴스레터는 2월 21일 오전 10시에 발행된 여행어디로갈까 콘텐츠입니다!
매주 금요일 전 세계 여행지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https://wheretotravel.stibee.com/
🙌106주년 맞이한 3·1절
3·1절은 1919년 3월 1일 일제의 지배에 항거해 전 세계에 한국의 자주독립을 선언한 3·1 운동을 기념하는 날이에요. 우리나라 5대 국경일인 3·1절이 올해로 106주년을 맞이했는데요. 106주년을 기념해 3·1절에 가면 좋을 여행지 준비했어요!
📰 3·1절을 세계에 알린 곳, 딜쿠샤

AP 통신 특파원의 집🏠: 딜쿠샤는 AP통신 특파원 '앨버트 테일러'의 집이에요.🏠 1920년대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서양식 건축물인데요. 수십 년간 방치된 딜쿠샤는 지난 2019년 3·1 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일반인에게 개방됐어요. 또 2017년에는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됐는데요. 이곳이 왜 문화재가 됐냐면요...!😯
3·1 운동을 세계에 알리다!🙌: 조선에서 금광 사업을 하던 앨버트는 AP통신으로부터 고종의 장례식을 취재해 달라는 부탁을 받게 되는데요. 출산을 앞둔 아내를 보러 세브란스 병원에 갔다가 우연히 독립선언서 뭉치를 발견해요.🗞️ 앨버트는 기사와 함께 독립선언서를 동생 윌리엄에게 전달했고, 윌리엄은 일제의 감시를 피해 기사를 미국으로 보냈어요. 그 결과 1919년 3월 13일자 뉴욕 타임즈에 3·1운동 기사가 실리게 됐죠.📰 뿐만 아니라 앨버트는 일본군이 조선 주민을 무차별하게 학살한 제암리 학살 사건도 전 세계에 보도하는 등 한국의 독립운동과 일본군의 만행을 세계에 알렸어요.
📍위치: 서울 종로구 사직로2길 17
🕒운영시간: 09:00~18:00 월요일 휴무
💵입장료: 무료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이회영 기념관

우당 이회영 선생은 '오성과 한음' 설화로 유명한 오성 이항복(제89대 영의정)의 10대손으로 명문 가문에서 태어났어요.😎 한마디로 엄청난 양반 가문 출신이죠. 하지만 이회영 선생은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했어요.😲 당시 이회영 선생의 재산은 현재 가치로 약 2조원이라고 해요. 이회영 선생은 전 재산으로 3,500명의 독립군을 배출한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했고요. 의열단, 대한광복군 등을 지원했어요.🪖
안타깝게도 이회영 선생은 1932년 일본군에 잡혀 모진 고문을 당한 뒤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셨어요.😢 이회영 선생과 함께 독립운동한 다섯 형제들도 고문, 행방불명 등으로 안타깝게 삶을 마감했고요. 유일하게 해방 후 살아 돌아온 동생 이시영 선생은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지냈지만 이승만 정부의 부패를 비판하며 자진 사퇴했어요. 이처럼 이회영 선생의 가문은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현한 가문이에요.🙌
📍위치: 서울 종로구 사직로6길 15
⏰영업시간: 10:00~18:00 (월, 휴무)
💵입장료: 무료
😢김구 선생의 사저, 경교장

경교장은 백범 김구 선생의 사저였어요. 1945월 11월 23일 환국한 김구 선생은 경교장에서 약 3년 7개월 간 생활하셨어요. 김구 선생의 침실, 응접실 겸 서재를 볼 수 있어요.🏠 김구 선생은 1949년 6월 29일 이곳 경교장에서 안두희에 의해 암살을 당해요.😢 그래서 경교장에는 김구 선생이 서거하는 자리와 총탄의 흔적이 남아있어요.
또 경교장은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이기도 했는데요. 김구 선생과 임시정부 인사들은 경교장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반탁운동과 통일운동을 주도했어요.🙌 응접실, 활동공간, 귀빈식당 등 임시정부 요인들의 활동 흔적을 엿볼 수 있답니다.😎
📍위치: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29
⏰영업시간: 09:00~18:00 (월 휴무)
💵입장료: 무료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조선통감부가 세운 감옥이에요. 이곳에선 일본 식민지배에 맞섰던 의병, 독립운동가 등이 갇혀 모진 고문과 탄압을 받았어요.😥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는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만해 한용운 선생, 도산 안창호 선생 등이 있어요.😢
현재는 우리 역사의 소중함과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형무소 모습 그대로 리모델링했기 때문에 '고문실', '감옥', '사형장', '한센병사', '여옥사' 건물이 고스란히 남아있어요. 여옥사에는 유관순 열사가 갇혀 있었던 것으로 전해져요. 또 1920년 3월 1일 여옥사 8호 감방에서는 3·1 운동 1주년 옥중 만세운동이 일어났다고 해요.🙌
📍위치: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241
🕒운영시간: 화-목 09:30~19:00, 금-일 09:30~18:00, 월 휴무
💵입장료: 성인 3,000원, 청소년 1,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