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 계층에서 선두하여 청년들의 투표, 즉 정치 참여를 독려하고 유도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네요. 그러나 한편에서는 국민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인 투표에 금전적인 가치가 개입되는 순간, 유권자로 하여금 투표 행위에 있어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주인 의식 목적보다 금액 가치 실현을 위한 목적이 그 행위의 본목적을 상회하게 될 가능성을 낳을 수 있는 점이 우려가 되네요 그 혜택이 없다면 그 유권자들은 투표를 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게 될 우려가 있는 건가? 하는 반문도 제기될 수 있고요 흥미로운 정보 전달 감사합니다:)

참자유의영감수업
일 년 전•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주인 의식 행사로서 국민의 권익 실현를 위한 목적을 갖는 투표 행위가, 금액 가치 취득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행위로 변질되어 여겨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네요 🤔
하지만 그만큼 한국정치의 불신으로 인해 청년층의 정치 무관심과 냉소가 투표참여 저하로 이어져서 이 해법을 강구하려 드는 국민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과 사명감이 존경스럽습니다 👏🏻 청년 세대의 정치 무관심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치 구조의 개혁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0
0
답글 0

참자유의영감수업 님에게 도움과 영감을 주는 답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