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시 보험사 대출도 알아는 봐야 하는 이유

주택담보대출 시 보험사 대출도 알아는 봐야 하는 이유

작성자 소심좌

소심한 사람을 위한 부동산

주택담보대출 시 보험사 대출도 알아는 봐야 하는 이유

소심좌
소심좌
@soshimja
읽음 326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부동산에서 내집마련을

하다보면 생각했던 것과

다른 형태의 대출을

받아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특히 '중도금'이라는 걸

내는 경우가 생긴다.

보통 상대방이 갈아타는

경우를 배려해서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근데 문제는 처음

내 집 마련을 하시는 분들 중

상대방이 원하는 중도금만큼

현금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그래서 중도금을 기준으로

잔금까지해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러면 보통 부동산에서

'대출상담사'를 소개해주고,

그런 경우 중 일부 '보험사 대출'을

추천하는 경우도 생긴다.

그런데 어쨌거나

유명한 은행이 아니라,

보험사에서 대출을

받아야 한다고 하니,

꺼려지는 분위기도 있는데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지 않고

보험사 대출도 알아는

봐야 한다.

그 이유를 소개드리고자 한다.

1. 의외로 금리가 낮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무조건

은행보다 보험사 대출의

금리가 비싼 것이 사실

실제로 한 보험사의

대출 금리 범위를

확인해보면 그러하고...

근데 분명히 유리한 경우가

있으니까 말씀을

드린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 때나 그런 것은 아니고,

금리가 급등하는 시기에

보험사 대출의 '금리예약'

기능을 활용해보면 좋다는 관점이다.

보통 담보대출은 계약 시점이

아니라 실제 대출이 실행되는

날짜의 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니까 금리가 오르는 추이가

보이는 상황이면 오늘 기준으로는

당장 비싸도, 오늘 예약을 해버리면

금리 상승기에 1금융권

은행에서 하는 것보다 유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소득이 다소 낮지만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에게 유리하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DSR' 제한으로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DSR은 이미 다들 알겠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말 그대로 대출 전체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전체를

연간소득으로 나눠서 산출되는 부분

보통 1금융권인 대형은행

에서는 DSR이 40%까지만

대출이 가능하지만,

보험사에서는 10%를 더

받을 수가 있다고...

대신에 1금융권보다

보험사 2금융권은

'신용점수'를 더 중요시한다는 점

잊지 말아야 한다.

3. '거치기간' (체증식) 1~3년 활용 가능

보통 카카오뱅크 같은 경우도

이자만 내는 '거치기간'을

제공하게 되기는 하지만,

1년이 최대다.

그리고 보통 은행사들은

거치기간을 최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보험사 대출은

1~3년까지 거치기간을

설정할 수 있어

유리한 부분도 있다.

4. 중도상환수수료 50% 혹은 완전면제 케이스 다수

만약에 금리의 변동기에

대출을 받는다고 하면

보험사 대출을 역시

고려해봄직하다.

중도상환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유형이

많이 있기 때문에

갈아타기가 쉽기 때문!

※ 결론:

  1. 당연히 보험사 대출을 강추하는 건 아님

  2. 그렇지만 경우에 따라서 쓰면 좋은 경우가 있음

  3. 선입견 때문에 아예 배제하지 말고 고려는 충분히 해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