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란 분쟁에도 호르무스 해협 통행량이 증가한 이유🚢

이스라엘-이란 분쟁에도 호르무스 해협 통행량이 증가한 이유🚢

작성자 생크션랩

글로벌 리스크 췍!☑️

이스라엘-이란 분쟁에도 호르무스 해협 통행량이 증가한 이유🚢

생크션랩
생크션랩
@sanctionlab
읽음 342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 편집자 주
이번 글은 2025년 6월 24일 기준, 국제통화기금(IMF)·옥스퍼드대 공동 해상 물류 플랫폼 ‘PortWatch’ 자료를 바탕으로, 홍해 물류 요충지 밥 엘 만데브 해협의 선박 통과량 급감과 그 배경인 중동 정세 불안, 호르무즈 해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밥 엘 만데브 해협, 통과 선박 5년 만에 ‘최저’

홍해와 아덴만을 잇는 밥 엘 만데브(Bab el-Mandeb) 해협을 지나는 선박 수가 하루 평균 22척으로 줄어들면서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주 평균 29척, 작년 동기 31척 대비 큰 폭 감소인데요,📉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과 미국의 대이란 공습, 예멘 후티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중동 해역의 불안정성이 고조된 데 따른 현상입니다.

이 해협은 아시아-유럽 간 수에즈 운하로 이어지는 핵심 경로로, 우회할 경우 남아프리카 희망봉을 돌아야 함.🌍

“공습+해적+지정학 리스크”, 선박들은 남하 중🚢

  • 6월 13일: 이스라엘, 이란 핵시설 공격

  • 6월 22일: 미국, 이란 내 군사 시설 추가 공습

  • 2023년 11월~현재: 예멘 후티 반군, 민간 화물선 공격 지속

이처럼 군사 충돌 + 반군 위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수에즈 운하 대신 희망봉으로 우회하는 선박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6월 24일 기준, 희망봉 경로의 선박 수는 하루 79척(7일 평균)으로 집계됐습니다.

🛢 호르무즈 해협은 ‘대체 불가’… 유의미한 변화 없어

한편, 세계 원유의 20%가 지나는 호르무즈 해협은 이란의 봉쇄 위협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루 평균 105척이 통과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주(105척), 전년 동기(101척)와 거의 동일한 수준입니다.

✅ 이유는 단순합니다:

거기에더해 사우디·UAE의 일부 우회용 파이프라인이 존재하긴 하지만, 전체 수송량을 대체하기에는 수용량과 인프라가 현저히 부족합니다.

시사점📌

  • 밥 엘 만데브 해협: 중동 긴장이 고조되면 즉각적으로 선박 회피 현상이 발생, 국제 해운 비용과 물류 지연 리스크에 직접적 영향

  • 호르무즈 해협: 리스크는 상존하나, 대체 경로 부재로 운송 흐름은 유지

💬 향후 중동 정세가 더 악화되거나, 두 해협에서 동시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글로벌 에너지 및 무역 물류망에 심각한 병목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 방송 내용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오늘 팟캐스트에서 더 재밌고 알기 쉬운 설명을 들어보세요!

🔴이란-이스라엘 갈등, 사이버 전쟁도 치열…해커 공격 급증
🔴英, 새 국가안보 보고서에서 제재를 핵심 안보 수단으로 명시
🔴中,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로 충돌한 반중 성향 필리핀 상원의원 제재
🔴러, 독일 다임러트럭 제재 조치…”우크라이나에 차량 공급”

아침에 딱 15분! 투자하고 지구촌 곳곳의 최신 소식을 들어보세요! 📻🎙️👉https://youtu.be/1piu1GpUtlI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