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지에 몰린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동아시아가 떠는 이유🛢️

궁지에 몰린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동아시아가 떠는 이유🛢️

작성자 생크션랩

글로벌 리스크 췍!☑️

궁지에 몰린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동아시아가 떠는 이유🛢️

생크션랩
생크션랩
@sanctionlab
읽음 280
이 뉴니커를 응원하고 싶다면?
앱에서 응원 카드 보내기

✍️ 편집자 주
이번 글은 2025년 6월 19일자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이스라엘-이란 충돌 격화 속 호르무즈 해협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일본의 에너지·무역 의존 구조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 호르무즈 해협, 여전히 세계 에너지의 생명선

이스라엘과 이란이 서로의 핵 시설과 석유 인프라를 공격하며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됐습니다.🚀 하지만 정작 세계 원유 물동량의 20%가 오가는 호르무즈 해협은 아직 막히지 않았습니다.

미국 에너지정보국(EIA)은 호르무즈 해협을 “가장 중요한 글로벌 석유 수송 초크포인트”로 규정하고, 하루 2천만 배럴이 넘는 원유가 이곳을 통해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 일본의 딜레마: 에너지 95%가 이 길을 지나간다

일본은 중동 원유 의존도가 약 95%. 이중 대부분이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들어옵니다.🚢

2024년 기준 일본의 대중동 수입액은 약 130조 원, 이 중 원유·석유류가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수출 측면에서도 자동차 수출이 중심인데, 전체의 50.7%, 약 21조 원 규모로 중동에 판매되었습니다.

📉 전문가 전망에 따르면,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경우 일본 GDP가 3%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합니다.

🛣 대체 경로는 있지만 ‘용량이 너무 작다’

JETRO는 호르무즈 해협 폐쇄 시 대체 가능한 수송로가 있긴 하지만, 수송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라고 분석합니다.📉

  • 사우디: 홍해로 이어지는 얀부 파이프라인 보유

  • UAE: 오만만 연안 푸자이라항 이용 가능

  • 이란: 자스크항으로 파이프라인 보유

👉 하지만 이 경로들은 물량 처리 한계가 있으며, 원활한 운송을 담보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홍해 후티 반군 공격까지… 물류망 이중 위협🚨

이런 와중에 홍해 해역에서도 예멘 후티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이 계속되고 있어, 중동 해상 물류망 전반이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5년 6월 둘째 주 기준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한 선박 수는 하루 평균 110척, 전년과 큰 차이는 없는 상태입니다. 이는 지금까지는 리스크가 반영되지 않았지만, 언제든 현실화될 수 있는 지정학적 위협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오늘 방송 내용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오늘 팟캐스트에서 더 재밌고 알기 쉬운 설명을 들어보세요!

🔴이란산 석유 끊길라…中, 美 공습에 규탄 성명
🔴EU, 중동정세 불안으로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 인하 연기
🔴미국, 이란과 후티 무장조직에 동시 제재 단행…군수·금융·운송망 전방위 타격

아침에 딱 15분! 투자하고 지구촌 곳곳의 최신 소식을 들어보세요! 📻🎙️👉https://youtu.be/7HxrYFnu6Ss

🔮오늘의 행운 메시지 도착!